‘문화예술인 블랙리스트’ 탄생·확대 계기 된 국정원 문건

‘문화예술인 블랙리스트’ 탄생·확대 계기 된 국정원 문건

오세진 기자
입력 2017-02-01 07:51
업데이트 2017-02-01 07: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가정보원 옛 GI
국가정보원 옛 GI 서울신문DB


박근혜 정부가 작성한 ‘문화예술인 블랙리스트’에는 국가정보원(국정원)의 그림자가 어른거리고 있었다.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정부 비판적인 문화·예술계의 인사들을 각종 지원에서 배제하고자 박근혜 정부가 만든 블랙리스트가 시작되고 확대된 데에 국정원의 문건이 ‘촉매제’ 역할을 한 정황을 포착했다.

1일 연합뉴스가 입수한 김종덕(60)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의 공소장에 따르면 2013년 하반기쯤부터 청와대 내부에선 박 대통령을 풍자하거나 정부 비판 여론에 동조하는 문화예술인을 지원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기조가 확산했다.

당시 국정원이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정부 비판 인사에 대한 자금 지원의 문제‘를 지적하는 정보보고서를 작성한 것이 계기 중 하나였다. 이 보고서는 박근혜 대통령의 풍자 그림으로 유명한 홍성담(62) 작가의 그림이나 연극 ’개구리‘ 등 박 대통령을 풍자하거나 희화화한 작품이 언론의 주목을 받고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 개봉이 임박한 가운데 박 대통령과 비서실 등에 보고됐다.

홍 작가는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시민군이 세월호 희생자를 구하는 내용의 대형 걸개그림 ‘세월오월’을 그렸다. 이 그림에서 박 대통령은 닭의 탈을 쓴 허수아비로 표현돼 있다. 논란이 되자 홍 화백의 그림은 2014년 광주비엔날레에서의 전시가 무산됐다.

김기춘(78)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은 현 정부에 비판적인, 일명 ‘좌파’ 문화·예술인들을 국론을 분열시키고 국정 흔들기를 시도하는 세력으로 규정하고 정부 지원을 차단해야 한다며 수석비서관 회의 등을 통해 ’관리‘를 지시했다. 실제로 고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비망록(업무 수첩)에는 김 전 실장은 홍 화백에게는 ‘배제 노력, 홍성담 사이비 화가 발붙이지 못하도록’이라고 지시했다.

2014년 2월 김 전 실장은 모철민(59) 당시 청와대 교육문화수석(현 주 프랑스 대사)에게도 문예기금 운영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개선 방안 마련을 요구했다. 이때도 국정원 문건이 전달됐는데, 상반기 문예기금 지원 대상자를 선정한 결과 정부가 규정한 좌파 단체나 작가가 포함된 게 문제로 지적됐다.

문건에선 이런 대상자를 선정한 심의위원회에 좌파 성향의 인물이 들어간 게 원인으로 거론됐다. 하반기부터는 문체부가 공모 심사 체계를 개선하고, 심의위원의 과거 활동경력이나 이념 편향도 검증해야 한다는 제안도 담겼다.

결국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심의위원 임명엔 청와대와 문체부의 입김이 작용하기 시작했다. 또 국정원 문건에서 ‘문제가 있다’고 언급된 개인이나 단체 이름이 업데이트에 참고 자료로 이용됐다는 점도 특검 조사 결과 나타났다고 연합뉴스는 보도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