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연구 구멍 … 지금이라도 IBS 접어야”

“다른 연구 구멍 … 지금이라도 IBS 접어야”

입력 2014-08-21 00:00
업데이트 2014-08-21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일하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이일하(50)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IBS 저격수’로 불린다. 그는 지난해 8월 생물학연구정보센터(브릭)에 실명으로 “IBS는 괴물 프로젝트”라고 직격탄을 날려 과학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연구비가 특정연구 프로젝트에 ‘몰빵’(집중)되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대다수 분야에서는 연구비가 말랐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었다.

이일하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이일하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이 교수는 “터무니없는 프로젝트가 진행돼도 과학자들이 속으로만 불평하지 공공연히 비판을 하지는 않는다. 모두들 방관만 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먼저 나섰다”며 글을 올렸던 이유를 20일 설명했다. 순수 과학자로서 작금의 상황이 우려스러워 올린 글에 놀란 정부는 IBS 관련 토론회를 여는 등 호들갑을 떨었지만, 1년이 지난 뒤 되돌아보니 변한 것은 전혀 없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이 교수는 “기초과학 지원시스템이 붕괴되는 상황이 오히려 가속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IBS가 설립되기 전인 4~5년 전까지만 해도 한국연구재단의 피라미드식 연구지원 시스템은 세계적으로 자랑할 수 있는 연구지원 체계였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한정된 기초연구비를 IBS에 몰아주면서 다른 연구비 지원 시스템 전체가 구멍이 나 버렸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금이라도 IBS를 접어야 한다는 것이 이 교수의 주장이다. 그는 “현실적으로 연간 100억원짜리 과제를 진행할 만한 인재풀도 더 이상 한국에는 없다”고 말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4-08-21 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