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중반 한국 여자 쇼트트랙을 이끈 진선유가 후배 양성에 나섰다. 단국대가 지난 1일 진선유를 코치로 발령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진선유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 세계선수권대회 3연패와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3관왕에 올랐다. 한국 스포츠 역사상 올림픽에서 3관왕을 차지한 여자 선수는 진선유가 유일하다.
그러나 2008년 2월 월드컵 대회에서 오른쪽 발목 인대를 다치면서 하강 곡선을 그렸다. 2009년 대표선발전에서 탈락해 지난해 밴쿠버 동계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했고, 타임레이스로 치러진 다음 대표선발전에서는 두 종목 1위를 차지하고도 종합점수에서 밀려 대표팀 복귀에 실패했다. 결국 진선유는 지난 2월 전국체전을 마지막으로 선수 생활을 접었다.
은퇴하면서 모교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하겠다고 밝혔던 진선유는 단국대 코치진의 권유로 2개월 만에 지도자로 빙판에 다시 서게 됐다. 밴쿠버 올림픽 2관왕 이정수와 은메달리스트 김성일, 올해 동계유니버시아드 금메달리스트 정바라 등이 진선유의 지도를 받는다.
진선유 코치는 “그동안 계속해 온 일인 만큼 가장 학교에 도움이 되는 일이라 생각했다.”면서 “아직 코치로서는 부족한 게 많지만, 배웠던 대로 후배들을 가르치겠다.”고 말했다. 또 여전히 코치로서 후배들을 대하기 어색하다고 웃으면서 “선수 시절 체력엔 자신이 있었지만 지방에서 혼자 운동하다 보니 게임 운영 능력이 약했다. 그때 느낀 자신감과 아쉬움을 되짚어 가르치는 데 활용하고 싶다.”며 포부를 전했다.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진선유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 세계선수권대회 3연패와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3관왕에 올랐다. 한국 스포츠 역사상 올림픽에서 3관왕을 차지한 여자 선수는 진선유가 유일하다.
그러나 2008년 2월 월드컵 대회에서 오른쪽 발목 인대를 다치면서 하강 곡선을 그렸다. 2009년 대표선발전에서 탈락해 지난해 밴쿠버 동계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했고, 타임레이스로 치러진 다음 대표선발전에서는 두 종목 1위를 차지하고도 종합점수에서 밀려 대표팀 복귀에 실패했다. 결국 진선유는 지난 2월 전국체전을 마지막으로 선수 생활을 접었다.
은퇴하면서 모교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하겠다고 밝혔던 진선유는 단국대 코치진의 권유로 2개월 만에 지도자로 빙판에 다시 서게 됐다. 밴쿠버 올림픽 2관왕 이정수와 은메달리스트 김성일, 올해 동계유니버시아드 금메달리스트 정바라 등이 진선유의 지도를 받는다.
진선유 코치는 “그동안 계속해 온 일인 만큼 가장 학교에 도움이 되는 일이라 생각했다.”면서 “아직 코치로서는 부족한 게 많지만, 배웠던 대로 후배들을 가르치겠다.”고 말했다. 또 여전히 코치로서 후배들을 대하기 어색하다고 웃으면서 “선수 시절 체력엔 자신이 있었지만 지방에서 혼자 운동하다 보니 게임 운영 능력이 약했다. 그때 느낀 자신감과 아쉬움을 되짚어 가르치는 데 활용하고 싶다.”며 포부를 전했다.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1-04-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