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국가대표다-조은지 기자의 훈련기] (2) ‘서울시스터스’ 경기 참관기

[나는 국가대표다-조은지 기자의 훈련기] (2) ‘서울시스터스’ 경기 참관기

입력 2011-05-23 00:00
업데이트 2011-05-23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맹수 돌변 동료보니 탄성 절로 뛰고 싶지 않다면 선수 아니다”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이라 했다. 감독님께 설명을 듣고 상상하던 럭비를 직접 볼 기회가 생겼다. 새로 국가대표상비군에 뽑힌 ‘초짜’들에게 연습만큼 중요한 공부다.

이미지 확대
여자럭비대표팀 선수(아래)가 서울시스터스의 강력한 태클에 넘어져 그라운드를 뒹굴면서도 악착같이 공을 지키고 있다. 주변에는 공을 받아서 전진하려고 기다리는 한국 선수들과 이를 빼앗으려는 상대 선수들이 있다.
여자럭비대표팀 선수(아래)가 서울시스터스의 강력한 태클에 넘어져 그라운드를 뒹굴면서도 악착같이 공을 지키고 있다. 주변에는 공을 받아서 전진하려고 기다리는 한국 선수들과 이를 빼앗으려는 상대 선수들이 있다.


비가 내려 춥기까지 하던 지난 21일. 럭비공을 잡고 태릉선수촌에서 땀을 흘린 지 닷새째 되는 날이다. 손에 착착 감기는 럭비공의 매력에 퐁당 빠진 내가 드디어 럭비 경기를 눈앞에서 접했다. 일산 백신고등학교에서 열린 고양시협회장배 동호인 대회였다. 대학교 때 럭비부 훈련이나 교생 실습 때 럭비부 학생들의 경기를 본 적은 있었지만 여자 선수들의 럭비 경기는 처음이었다. 일산까지는 집(성남)에서 꼬박 2시간 가까이 걸렸지만 가는 내내 가슴이 뛰었다. 기분 좋은 설렘이다.

●상대 외국인들보다 왜소한 몸집

지난해 광저우 아시안게임에 출전했던 대표팀과 한국 내 외국인 럭비클럽 ‘서울 시스터스’의 7인제 경기. 왜 럭비를 ‘남성 스포츠’라고 하는지 제대로 느낄 수 있었다. 헤드기어를 끼고 마우스피스를 입에 문 동료들을 보자 괜히 내 어깨에 잔뜩 힘이 들어갔다.

비까지 내려 더욱 전운이 감돌던 푸른 잔디. 게다가 상대 외국인들은 ‘떡대’가 장난이 아니었다. 돌진한다면 그대로 뒷걸음질치고 싶게 만드는 우람한 덩치였다. 우리 팀이 왜 그렇게 가녀리고 왜소해 보이던지….

킥오프. 휘슬이 울리자 양 팀 선수들은 성난 맹수로 돌변했다. 상대 선수가 공을 잡으면 망설임 없이 달려들었다. 그라운드에 넘어져도 언제 그랬느냐는 듯 벌떡 일어섰다. 오뚝이 같았다. 패스할 듯 다시 앞으로 달리고, 달릴 듯하다가 쏜살같이 패스했다. 감칠맛이 났다. 나도 모르게 “오오오오.” 하는 탄성이 터져 나왔다.

●격렬한 럭비… 7분도 길게 느껴져

전반 7분이 후딱 지나갔다. 나는 짧게 느껴졌지만 뛰는 선수들은 1분의 짧은 하프타임 동안 숨을 헐떡였다. 후반 7분도 정신없이 흘렀다. 비와 땀이 범벅 된 선수들은 온몸이 축축하게 젖어 있었다. 정말 멋있었다. 경기 시간을 알고 “7분이면 별로 길지도 않네? 그걸 못 뛰겠어?”라고 생각했는데 경기를 보자 그렇게 생각했던 게 머쓱하고 민망해졌다. 럭비는 격렬하고 쉴 틈 없는 종목이었다.

23일부터는 인천 송도에서 합숙 훈련을 시작한다. 오전, 오후 두 시간씩 송도LNG구장에서 땀을 흘릴 예정이다. 태릉선수촌에서 출퇴근했던 그동안의 훈련이 패스 위주의 ‘에피타이저’였다면, 이제부터는 넓은 그라운드를 휘저으며 달리는 ‘메인 요리’가 시작된다. 뜨거운 태양 아래 얼굴은 까매질 테고 머리카락은 뚝뚝 끊어질 것이다.

그러나 심장이 두근거린다. 나도 빨리 ‘그럴싸하게’ 뛰고 싶다. 아버지가 럭비는 위험하다고 그렇게 걱정하셨는데…. 실제 경기에서 나뒹구는 장면을 봤음에도 겁나고 두렵기보다는 오히려 전투력만 상승될 뿐이다. 불현듯 ‘뛰고 싶지 않은 선수는 없다’는 생각이 든다. 아니, 감히 말하건대 뛰고 싶지 않다면 선수가 아니다.

글 사진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1-05-23 2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