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르랠리] 죽도록 달려?

[다카르랠리] 죽도록 달려?

입력 2012-01-03 00:00
수정 2012-01-03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다카르랠리 또 사망 선수 25명째 희생

‘악마의 유혹’이 또 시작됐다. 2주 남짓 9500여㎞의 험한 길을 밤낮 없이 달리며 탈것과 드라이버의 한계를 시험하는 극한의 레이스. 다카르 랠리다.

경주가 시작된 건 1979년, 프랑스 파리~아프리카 세네갈의 수도 다카르를 잇는 경주였지만 2008년 사하라 사막 북부 모리타니의 정쟁으로 인한 테러 위협 때문에 개막 전날 전격 취소된 뒤 2009년부터 남미에서 열리고 있다. 올해로 32회째. 곧잘 포뮬러1(F1)과 비교되지만 위험성만 따지면 F1은 ‘애교’ 수준이다.

F1이 ‘새장 안의 레이스’라면 다카르 랠리는 그야말로 ‘야생의 질주’. 이 때문에 전체 구간을 완주하는 참가자는 30~50%에 불과하다. 험난한 코스와 지형, 잔혹한 기후 탓에 사망자도 줄을 이었다.

지난 1일 아르헨티나 마르델플라타를 출발해 페루 리마까지 이어지는 2012년 대회 모터사이클 부문에 출전한 마르티네스 보에로(38·아르헨티나)가 차체에서 떨어져 머리와 가슴 등을 크게 다쳐 숨졌다. 참가 선수 가운데는 1979년 첫 대회의 파트리스 도댕(프랑스·모터사이클) 이후 25번째 희생자다. 기자, 엔지니어, 관중 사망자까지 모두 합하면 58번째다.

그런데도 랠리가 이어지는 것은 주최 측과 개최국에 돌아오는 막대한 수입 때문이다. 2009년 대회를 처음 개최한 아르헨티나의 공식 관광 수입은 2000만 달러로 전해졌지만 TV를 통해 2주일 넘게 지켜보는 전 세계 6억 인구의 눈을 겨냥한 광고 수입도 못지않게 짭짤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병규기자 cbk91065@seoul.co.kr

2012-01-03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