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흥민의 토트넘, UEFA챔스리그서 레알 마드리드와 한 조

손흥민의 토트넘, UEFA챔스리그서 레알 마드리드와 한 조

입력 2017-08-25 06:58
수정 2017-08-25 06: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토트넘, 레알 마드리드, 도르트문트 한조…죽음의 조 만들어졌다

첼시와 AT마드리드 같은 조 배정…코스타 더비 완성
‘창과 방패’ 바르사와 유벤투스, 조별리그에서 충돌

축구 대표팀 손흥민의 소속팀 토트넘(잉글랜드)이 디펜딩 챔피언 레알 마드리드(스페인)와 2017-2018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한 조에 편성됐다.

토트넘은 25일(한국시간) 모나코 그리말디 포럼에서 열린 조 추첨 결과 레알 마드리드, 도르트문트(독일), 아포엘(키프로스)과 H조에 묶였다.

토트넘은 9월 14일 홈구장인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도르트문트와 조별리그 첫 경기를 펼치고, 9월 27일 아포엘과 2차전을 치른다. 레알 마드리드와는 10월 18일 원정경기를 펼친다.

현지 언론은 토트넘이 역대 최악의 조 편성 결과를 받았다고 입을 모았다.

포트3에 배정됐던 토트넘은 포트1의 최강팀 레알 마드리드를 만난 데 이어 포트2에서도 독일의 명문 팀 도르트문트가 합류해 조별리그 과정이 매우 험난해졌다고 평가했다.

다국적매체 ESPN은 “토트넘이 범접할 수 없는 최고의 팀 레알 마드리드와, 좋은 기량의 선수들이 차고 넘치는 도르트문트, 이변을 일으킬 수 있는 아포엘과 만나 상황이 매우 힘겨워졌다”고 설명했다.

C조는 흥미로운 조 배정 결과가 나왔다. 현재 첼시의 공격수 디에고 코스타는 안토니오 콘테 감독과 심각한 불화로 프리시즌 이후 팀에 합류하지 않았다.

대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AT마드리드·스페인)로 이적을 보내달라며 구단과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첼시는 AT마드리드와 한 조에 묶인 가운데, 현지 언론들은 ‘코스타 더비’가 완성됐다고 전했다.

D조에선 ‘악연’을 가진 유벤투스(이탈리아)와 FC바르셀로나(스페인)가 만났다.

두 팀은 2014-2015시즌 결승전에서 만났는데, 당시 바르셀로나가 3-1로 승리해 우승컵을 들었다.

지난 시즌엔 유벤투스가 8강전에서 바르셀로나를 1승 1무로 따돌리며 빚을 갚았다.

중요한 순간마다 ‘창과 방패’의 싸움을 펼쳤던 양 팀은 올 시즌에 같은 조에서 혈투를 펼치게 됐다.

이밖에 B조에 바이에른 뮌헨(독일)과 파리 생제르맹(프랑스), E조 리버풀(잉글랜드)과 세비야(스페인)의 대결이 팬들의 관심을 끌 전망이다.

조별리그는 9월 13일에 시작하고 각 조 상위 2개 팀이 16강 토너먼트에 오른다. 결승전은 내년 5월 26일 우크라이나 키예프 올림피스키 스타디움에서 열린다.

◇ 2017-2018 UEFA 챔피언스리그 조 추첨 결과

▲ A조= 벤피카(포르투갈),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잉글랜드), 바젤(스위스), CSKA모스크바(러시아)

▲ B조= 바이에른 뮌헨(독일), 파리생제르맹(프랑스), 안데를레흐트(벨기에), 셀틱(스코틀랜드)

▲ C조= 첼시(잉글랜드), AT마드리드(스페인), AS로마(이탈리아), 카라바흐(아제르바이잔)

▲ D조= 유벤투스(이탈리아), FC바르셀로나(스페인), 올림피아코스(그리스), 스포르팅 리스본(포르투갈)

▲ E조=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러시아), 세비야(스페인), 리버풀(잉글랜드), NK마리보르(슬로베니아)

▲ F조= 샤흐타르 도네츠크(우크라이나), 맨체스터시티(잉글랜드), 나폴리(이탈리아), 페예노르트(네덜란드)

▲ G조= AS모나코(프랑스), FC포르투(포르투갈), 베식타스(터키), 라히프치히(독일)

▲ H조= 레알 마드리드(스페인), 도르트문트(독일), 토트넘(잉글랜드), 아포엘(키프로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