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관련 학과 교수들 “스포츠혁신위 권고 반발 근거없다”

체육관련 학과 교수들 “스포츠혁신위 권고 반발 근거없다”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19-07-02 11:33
업데이트 2019-07-02 1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스포츠혁신위원회가 제시한 권고안을 일부 엘리트 스포츠계에서 반발하는 가운데 스포츠 관련 학과 교수들이 스포츠혁신위 권고안을 지지하고 나섰다.

전국 스포츠 관련 학과 교수 194명이 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체육개혁을 촉구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대한체육회가 스포츠개혁에 반하는 일련의 매도와 왜곡을 당장 멈추라고 비판하는 한편 스포츠혁신위 권고안을 정부가 즉각 시행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특히 일부 엘리트스포츠게의 반발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학생선수의 본분은 선수가 아닌 학생이라는 지극히 상식적인 권고를 운동하려는 선수에 대한 반인권적 폭력으로 매도하고 소년체전 확대 개편의 권고를 폐지라고 호도해 엘리트스포츠 죽이기라는 왜곡된 주장을 펴고 있다”고 꼬집었다.

기자회견에서 모두발언을 한 강신욱 단국대 교수는 “요즘 체육계가 어수선하다. 특히 스포츠 혁신위 권고에 대한 반대, 우려가 크다”면서 “혼란에도 불구하고 모두가 동의하는 것은 현재 한국 스포츠에 분명히 문제가 있으며 어떻게든 바꿔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스포츠혁신위 권고안이 기존 체육계와 충분히 소통하지 못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면서 “이제부터라도 스포츠혁신위 뿐 아니라 전체 체육계가 허심탄회하게 토론하고 소통해서 미래지향적인 체육개혁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상범 중앙대 교수는 “현재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의 위상에 비춰볼 때 체육 시스템은 우리에게 어울리는 옷이 아니다. 그걸 벗고 새로운 옷으로 갈아입어야 하는 중요한 전환기를 맞았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끊임없이 상처받는 불행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농구선수 출신인 임용석 충북대 교수 역시 “나 자신 선수를 그만두고 나서 그런 불행을 겪은 사람 중 하나”라면서 “선수 가운데 김연아, 류현진처럼 되는 건 10%도 안된다. 하지만 한국 체육은 모든 선수를 김연아나 류현진처럼 훈련시킨다. 결국 90% 운동선수들을 불행으로 내몰고 있다”고 비판했다.

임 교수는 스포츠혁신위 권고에 반발하는 이들이 강조하는 “기존 성과를 무시한다”는 지적에도 의문을 표시했다. 그는 “많은 학생선수들이 성적을 내기 위해 엄청나게 많은 걸 포기해야 한다. 혁신위나 우리는 그걸 정상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라면서 “성적 못내면 어떠냐. 성적만 집착하는 것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최재원 중앙대 교수는 “한국 체육계에서 10% 엘리트 체육인들의 발언권이 너무 강하다. 90%에 속하는 이들을 대변하는 목소리가 없다”면서 “90%에 속하는 이들도 스포츠를 즐기고 운동 그만둔 뒤에도 기회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걸 대한체육회 등이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엘리트 체육 양성 시스템 바꾸자는 것이지 엘리트 체육인들을 ?아내자는 게 아니다”면서 “학생들이 즐기면서 성장해 가는 속에서 엘리트 선수도 나오는 방식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