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남북 공동으로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추진하자”

“태권도, 남북 공동으로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추진하자”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19-07-28 16:10
업데이트 2019-07-28 22: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7일 강원도 평창에서 열린 2019 평창세계태권도 한마당 기념 세미나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평창세계태권도한마당 조직위원회 제공
27일 강원도 평창에서 열린 2019 평창세계태권도 한마당 기념 세미나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평창세계태권도한마당 조직위원회 제공
태권도를 남북한이 공동으로 유네스코(UNESCO) 인류 무형 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홍성보 경희대 스포츠과학원 수석연구원은 27일 용평리조트 그랜드볼룸에서 ‘2019 평창 세계태권도한마당 조직위원회’가 개최한 세미나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홍성보 박사는 “겨루기 중심의 경기 태권도인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는 ‘올림픽 유산(레거시)’이고, 겨루기를 제외한 태권도 품새 격파 등 무예로서의 기량을 펼치는 세계태권도한마당은 유네스코가 정의하는 ‘인류 무형 문화유산(헤리티지)’에 가깝다”며 “레거시와 헤리티지를 혼용해서는 안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해 남북한이 공동으로 추진해 무형유산에 올린 씨름을 사례로 들었다. 남북한은 2014년 씨름 공동 등재를 추진했지만, 이듬해 북한이 단독으로 신청해 틀어지는듯했지만 별도로 남한이 신청한 뒤 다시 공동으로 추진하면서 지난해 성과를 올렸다.

이는 남북한의 전통스포츠가 인류유산에 공동으로 등재될 수 있는 길을 열었고, 남북한 태권도의 가능성을 높여줬다.

홍 박사는 “보호, 공동체, 전승체계, 문화사적 의미, 교류 협력 등 유네스코가 정의하는 무형유산 선정의 내용을 태권도가 충족하고 있다”며 “유네스코는 유사한 문화전통을 공유한 국가들이 있을 경우 해당 유산에 대해 공동 등재를 추진할 것을 권고하고 있는데, 태권도가 거기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등재 전략도 소개했다. 홍 박사는 “유네스코도 권고한 만큼 공동 등재가 가장 손쉽고 효율적”이라며 “하루빨리 남한 내 협의기구를 설립해 북한과 대회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