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못 구한 빙상, 전임 코치 체제로 베이징 도전

감독 못 구한 빙상, 전임 코치 체제로 베이징 도전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21-10-07 18:02
수정 2021-10-08 03: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성폭력·파벌 논란에 선임 기준 높인 탓
연맹 “지도력 검증된 코치진, 활약 기대”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대표팀이 감독 없이 전임 코치 체제로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나선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은 7일 “지난해부터 꾸준히 신임 감독 선정 작업을 벌여왔으나 엄격해진 기준에 적합한 후보가 나오지 않았다”며 “감독직을 공석으로 두고 전임 코치 체제로 2021~22시즌 국제 대회와 베이징 올림픽을 치르기로 했다”고 밝혔다.

쇼트트랙은 안중현, 김병준(이상 남자 대표팀), 이영석, 이소희(이상 여자 대표팀) 코치가 맡는다. 가장 경력이 많은 이영석 코치가 선임을 맡아 쇼트트랙을 총괄한다. 스피드스케이팅은 김형호 코치와 박정은 코치가 맡았다.

빙상 대표팀은 지난 7월부터 전임 코치 체제로 훈련하고 있다. 8일 개막하는 베이징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테스트 이벤트도 감독 없이 치른다. 그동안 국내 스포츠계는 선수 인권 침해 관련 논란이 끊이지 않으며 사회적 지탄의 대상에 오르곤 했다. 빙상계 또한 성폭력 사건과 파벌 논란, 선수 관리 부주의 등으로 몸살을 앓았다. 정부와 대한체육회는 각 단체에 지도자 선발 기준을 강화하라고 권고하기도 했다.

올림픽을 치르기에는 전임 코치의 경험이 짧다는 우려에 대해 연맹 관계자는 “모두 지도력이 검증된 코치진”이라며 “충분히 좋은 모습을 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1-10-08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