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 ‘케냐 출신’ 예벳, 바레인 올림픽 사상 첫 金

육상 ‘케냐 출신’ 예벳, 바레인 올림픽 사상 첫 金

입력 2016-08-16 07:41
수정 2016-08-16 07: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케냐 출신’ 루스 예벳(20)이 바레인에 올림픽 사상 첫 금메달을 안겼다.

역사적인 순간이지만, ‘오일 머니로 산 금메달’이라는 비판도 들린다.

예벳은 16일(한국시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올림픽 주경기장에서 열린 리우올림픽 여자 3,000m 장애물 결승에서 8분59초75로 우승했다.

그는 올해 6월 자신이 세운 아시아 기록(8분59초97)도 경신했다.

경기 막판 여유를 부리지 않았다면 세계 기록(8분58초81) 경신도 가능해 보였다. 이날 예벳 기록과 세계 기록 차는 불과 0.94초였다.

경기 뒤 예벳은 “기록을 신경 쓰지 않았다. 오로지 금메달에만 집중했다”고 말했다.

이날 은메달은 9분7초12를 기록한 하이빈 옙케모이(케냐)가 차지했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부터 참가한 바레인은 예벳 덕에 역대 올림픽 첫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예벳은 1996년 케냐 나이로비에서 태어났다.

2013년 4월 케냐 고등학교선수권에서 3,000m와 5,000m 우승을 차지했다.

곧바로 바레인이 접근했다. 예벳은 그해 바레인 국적을 얻었고, 2014년부터 바레인 국가대표로 활약했다.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에서도 바레인 국기를 달고 여자 3,000m 장애물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예벳은 “케냐에는 정말 많은 육상 선수가 있다. 교육을 받을 기회는 바레인이 더 많다”며 육상 국가대표로 뛸 기회와 교육 환경을 귀화 이유로 꼽았다.

바레인은 15일 여자 마라톤에서도 ‘케냐 출신’ 덕에 올림픽 사상 첫 은메달을 따냈다.

여자 마라톤 2위 유니스 키르와(32)도 2013년 말 케냐를 떠나 바레인 국적을 취득했다.

사실 바레인이 올림픽에서 처음 따낸 메달도 ‘오일 머니’ 덕분이다.

2012년 런던올림픽 여자 1,500m에서 바레인에 올림픽 첫 메달(동메달)을 안긴 마리암 유수프 자말도 에티오피아 출신이다.

바레인이 이날까지 따낸 올림픽 메달 3개를 모두 아프리카 출신 선수가 만들어냈다.

바레인은 카타르와 함께 “오일 머니로 선수를 ‘구입’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바레인은 금전적인 어려움이 있는 아프리카 육상 선수를 10대 중후반에 귀화시켜 1, 2년 안에 국가대표로 내세우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아프리카에서 온 바레인 선수가 만든 메달을 향해 여러 시선이 오간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