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인도, 개막식에 기수 없이 참석

<올림픽> 인도, 개막식에 기수 없이 참석

입력 2014-02-08 00:00
수정 2014-02-08 15: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 국기 대신 올림픽기를 달고 출전하는 인도 선수들은 대회 개막식에서도 기수로 나서지 않아 화제를 모으고 있다.  MBC방송캡처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 국기 대신 올림픽기를 달고 출전하는 인도 선수들은 대회 개막식에서도 기수로 나서지 않아 화제를 모으고 있다.
MBC방송캡처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 국기 대신 올림픽기를 달고 출전하는 인도 선수들은 대회 개막식에서도 기수로 나서지 않는다.

대회 조직위원회가 7일(한국시간) 개막식을 앞두고 발표한 국가별 기수 명단을 보면, 독립선수단(Independent Olympic Participant)이라는 이름으로 출전하는 인도 팀에는 기수가 없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홈페이지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인도의 기수로는 자원봉사자가 나선다.

인도올림픽위원회(IOA)가 임원 선거 과정에서 정부가 부당하게 개입했다는 이유로 IOC로부터 무기한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탓에 인도 선수들은 국기를 달고 대회에 나서지 못하는 처지다.

알파인스키, 크로스컨트리, 알파인스키 등 세 종목의 선수가 IOC의 허가를 얻어 독립 선수로 올림픽 무대는 밟을 수 있게 됐지만, 기수의 영광은 아무도 안지 못했다.

조직위가 발표한 88개 참가국(인도 포함)의 기수 명단을 살피면 각국의 기대를 받는 스타나 이색적인 경력으로 화제를 모은 도전자들이 많이 보인다.

스키점프 황제 시몬 암만(스위스), 아이스하키 스타 즈데노 차라(슬로바키아), 알파인스키 여왕 등극을 노리는 마리아 회플리슈(독일)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 선수 최초로 올림픽 6회 출전이라는 위업을 이룬 스피드스케이터 이규혁(서울시청)도 빙판 위의 명성은 이들에 뒤지지 않는다.

마케팅 전략에 따라 속옷 브랜드명으로 개명해 화제를 모은 통가의 루지선수 브루노 바니니, 독일 왕족 출신으로 동계올림픽 사상 두 번째 고령 선수인 ‘알파인스키 왕자님’ 후베르투스 폰 호헨로헤(55·멕시코), 네팔의 셰르파 아저씨 다크히리 셰르파(네팔) 등 이색 선수들은 자국 깃발을 드는 영광까지 안았다.

조직위 집계 결과 기수들 가운데 가장 많은 33명이 스키 선수다. 크로스컨트리가 16명으로 뒤를 잇는다.

이에 비해 스켈레톤은 이번 대회에서 유일하게 한 명의 기수도 배출하지 못한 종목이다.

스키점프에서 1명이 기수로 나섰고 스노보드, 컬링, 루지 등에서 두 명씩 자국 깃발을 드는 선수가 있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