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이트보드는 메달보다 재미죠” 매일 꿈을 타는 46세 국대 아저씨

“스케이트보드는 메달보다 재미죠” 매일 꿈을 타는 46세 국대 아저씨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1-08-01 20:40
수정 2021-08-02 01: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남아공 댈러스 오버홀저 올림픽 출전
영화 ‘백 투더 퓨처’ 이후로 빠져들어
직업 없었지만 빈민가 청소년 가르쳐
“엄마가 이제 내가 뭘 하는지 알게 돼”

이미지 확대
댈러스 오버홀저  AP 제공
댈러스 오버홀저
AP 제공
스케이트보드라고 하면 10대 청소년이나 즐기는 운동이나 취미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올림픽에 대한 젊은이의 관심을 높이고자 이번 2020 도쿄올림픽에 정식 종목으로 도입했다. 실제로 스케이트보드 종목에 참가한 선수들은 다른 종목에 비해 복장이 자유롭고 출전 연령대 역시 어려 눈길을 끌었다.

그런데 스케이트보드가 청소년의 운동이라는 생각 역시 편견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 주듯 희끗희끗한 머리칼에 수염까지 기른 나이 든 선수가 참가해 관심을 끌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주인공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댈러스 오버홀저(46) 선수.

오버홀저는 스케이트보드 종목에 출전한 남녀 80명의 선수 중에서 두 번째로 나이가 많다. 가장 나이 많은 선수는 덴마크의 룬 그리프버그(47)로 그는 오버홀저보다 생일이 단지 8개월 빠르다. 이들은 모두 중학생 시절 SF영화 ‘백 투더 퓨처’에서 마이클 제이 폭스가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것을 본 뒤 그 매력에 흠뻑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오버홀저는 “그 영화를 본 순간 내 삶이 완전히 바뀌었다”며 “스케이트보드가 내 삶의 전부가 되면서 지금까지 직업을 가지려고 노력한 적도 없고 실제 직업을 가진 적도 없었다”고 밝혔다. 오버홀저는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의 동생 재닛 잭슨의 백댄서를 태우고 다니는 운전기사 노릇도 했지만 정규직으로 근무했던 적은 한 번도 없었다.

그렇지만 오버홀저가 아무 일도 하지 않고 방랑자처럼 산 것은 아니다. 통신에 따르면 남아공에 흑백분리 정책이 한창이던 때 오버홀저는 빈민가 흑인 청소년이 약물과 범죄의 검은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스케이트보드를 탈 수 있는 공원과 시설을 만들기도 했다. 교육이 아닌 스포츠인 스케이트보드가 청소년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꾸고 결국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신념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오버홀저는 “이번 올림픽에 참가한 이유는 메달이 아니라 재미를 느끼기 위해서”라면서 “올림픽 참가로 또 하나 좋았던 점은 내 어머니가 내가 뭘 하면서 사는지 마침내 알게 되셨다는 것”이라고 웃었다.
2021-08-0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