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억원 삭감’ 김재호, 장기 협상 끝에 연봉 3억원 합의…2군 일본 전지훈련 합류

‘2억원 삭감’ 김재호, 장기 협상 끝에 연봉 3억원 합의…2군 일본 전지훈련 합류

서진솔 기자
서진솔 기자
입력 2024-02-09 14:01
업데이트 2024-02-09 14: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두산 베어스 김재호가 지난해 10월 19일 창원NC파크에서 열린 2023 KBO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 결정전 NC 다이노스와의 경기에서 득점하고 동료들과 기쁨을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두산 베어스 김재호가 지난해 10월 19일 창원NC파크에서 열린 2023 KBO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 결정전 NC 다이노스와의 경기에서 득점하고 동료들과 기쁨을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두산 베어스가 1군 전지훈련이 시작되고 9일 만에 베테랑 유격수 김재호와 연봉 3억원에 합의했다. 김재호의 연봉은 지난해 5억원에서 40% 삭감됐다.

두산은 9일 2024년 연봉 재계약 대상자 61명 전원과 협상을 마쳤다고 밝혔다. 김재호와의 협상이 지지부진하면서 발표도 늦어졌다. 협상을 마친 김재호는 12일 퓨처스리그(2군) 전지훈련지인 일본 미야코지마로 출국한다. 2군 스프링캠프는 6일 첫 훈련을 시작으로 다음 달 6일까지 이어지고 1군 캠프는 1일부터 19일까지 호주 시드니, 21일부터 3월 6일까지 일본 미야자키에서 진행된다.

김재호는 2021시즌을 앞두고 3년 25억원에 자유계약선수(FA) 잔류를 선언했다. 계약금 9억원, 3년 연봉 16억원 규모다. 지난해 계약 기간이 만료돼 연봉 협상 대상자에 이름을 올린 김재호는 구단과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두산 관계자는 지난 7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다시 협상 테이블을 차릴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2004년부터 두산에서만 뛴 김재호는 극적으로 구단과 합의하면서 2024시즌도 팀의 내야를 지키게 됐다.

지난해 8월 중순부터 2번 타자를 맡은 김재호는 2023시즌 91경기 70안타 3홈런 타율 0.283의 성적을 남겼다. 후반기 페이스는 주춤했으나 10월 19일 NC 다이노스와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4타수 2안타 3득점으로 활약했다.
이미지 확대
두산 베어스 곽빈이 지난해 9월 18일 광주 기아챔피언스필드에서 열린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공을 던지고 있다. 연합뉴스
두산 베어스 곽빈이 지난해 9월 18일 광주 기아챔피언스필드에서 열린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공을 던지고 있다. 연합뉴스
팀 내 최고 인상액을 기록한 선수는 투수 김명신으로 지난해 1억 4500만원에서 8000만원 오른 2억 2500만원에 계약했다. 김명신은 지난 시즌 두산 불펜투수 중 가장 많은 70경기, 79이닝을 소화하면서 3승3패 24홀드 1세이브 평균자책점 3.65로 호투했다. 투수 김동주는 2400만원 인상된 5500만원으로 최고 인상률 77.4%를 기록했다.

국내 에이스 곽빈은 7000만원이 올라 2억 1000만원의 연봉을 받는다. 곽빈은 라울 알칸타라-브랜든 와델과 함께 강력한 3선발 체제를 구축하며 23경기 12승7패 평균자책점 2.90의 성적을 남겼다. 지난해 8월 중순부터 두산의 마무리 투수를 맡은 정철원은 지난 시즌 1억원에서 1억 6500만원으로 올랐다. 정철원의 지난 시즌 성적은 67경기 7승6패 11홀드 13세이브 평균자책점 3.96이다.

지난해 11월 아시아프로야구챔피언십(APBC) 2023에서 태극마크를 단 좌완 투수 최승용은 6000만원에서 1억 200만원, 데뷔 첫 억대 연봉으로 계약했다. 야수 중에는 강승호가 최고 인상액 5500만원을 기록하며 2억 5500만원에 협상 완료했다.
이미지 확대
두산은 9일 2024년 연봉 재계약 대상자 61명 전원과 협상을 마쳤다고 밝혔다. 두산 베어스 제공
두산은 9일 2024년 연봉 재계약 대상자 61명 전원과 협상을 마쳤다고 밝혔다. 두산 베어스 제공
서진솔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