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127㎞…윤성빈, 비관은 말로만 충분해

123㎞→127㎞…윤성빈, 비관은 말로만 충분해

이주원 기자
입력 2022-02-09 16:04
수정 2022-02-09 16: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윤성빈이 지난 1일(한국시간) 라트비아 시굴다에서 열린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연맹(IBSF) 월드컵 스켈레톤 6차 대회 1차 시기에서 스타트한 뒤 얼음을 타고 있다. 시굴다 AP 연합뉴스
윤성빈이 지난 1일(한국시간) 라트비아 시굴다에서 열린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연맹(IBSF) 월드컵 스켈레톤 6차 대회 1차 시기에서 스타트한 뒤 얼음을 타고 있다.
시굴다 AP 연합뉴스
어둡기만 했던 비관이 조금씩 밝은 전망으로 바뀌고 있다.

한국 스켈레톤 간판 ‘아이언맨’ 윤성빈(28·강원도청)이 10일 금빛 질주에 나선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아시아 최초로 스켈레톤 금메달을 땄던 윤성빈은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에서 대회 2연패를 조준한다.

평창올림픽 이후에도 윤성빈은 정상급 기량으로 세계를 평정했다. 하지만 올 시즌 갑작스런 부진에 빠지면서 고심이 크다. 윤성빈은 2020~21시즌 월드컵에서 한 차례도 시상대에 오르지 못했다. 지난해 국내 트랙이 준비되지 못해 훈련을 하지 못했고, 무릎 부상도 있었다.

윤성빈도 스스로 무력감을 느꼈다. 어느덧 베테랑이 된 윤성빈이지만 인제야 첫 슬럼프가 찾아왔다. 윤성빈은 올림픽 직전 열린 미디어데이에서 “현실을 냉정하게 보았을 때 메달은 힘들다”고 말했다. 베이징에 도착한 직후에도 “4년 전에 비해 즐기지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하지만 그의 비관과는 달리 베이징에서 희망이 피어나고 있다. 윤성빈은 지난 7일부터 옌칭 슬라이딩 센터에서 공식 연습을 통해 막바지 컨디션을 끌어올렸다. 최근 체중 감량에 성공하면서 스타트도 좋아졌다. 훈련 첫날 1분 02초 98의 주행 기록은 둘째 날 1분 01초 47로 좋아졌다. 123.4㎞였던 최대 속력도 127.1㎞로 높였다. 조인호 봅슬레이스켈레톤 총감독은 “최종 감량을 통해 순발력을 극대화했다”며 “슬슬 기량이 올라오고 있다. 약점을 최대한 줄이는 게 최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윤성빈이 금메달을 위해선 넘어야 할 마지막 관문이 있다. 결승선 직전에 있는 마의 13번 코스를 정복해야 한다. 앞서 열렸던 루지 경기에서는 선수들이 13번 코스를 극복하지 못하고 벽에 충돌하거나, 중심을 잃고 썰매가 뒤집혔다. 13번 코스는 최대 속도로 진입해 90도로 꺾어지는 커브인 만큼 선수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썰매 종목 유일하게 올 시즌 월드컵에서 메달을 획득한 신예 정승기(23·가톨릭관동대)도 첫 올림픽 메달을 노린다. 남자 스켈레톤은 11일 4차 주행을 끝으로 메달의 주인공이 결정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