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육상> 100m 김국영 실격시킨 부정출발은

<세계육상> 100m 김국영 실격시킨 부정출발은

입력 2011-08-27 00:00
수정 2011-08-27 15: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타트 반응속도 0.1초 이하·총성 울리기 전 움직일 때 적용

제13회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남자 100m 본선 진출을 노렸던 김국영(20·안양시청)이 부정 출발로 자격예선 단계에서 실격됐다.

출발 총성과 함께 스타트블록을 박차고 나가는 단거리 선수에게 부정 출발은 절대 해서는 안 되는 실수다.

몇 년을 공들여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지도 못하고 단번에 물거품이 되기 때문이다.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이 펴낸 2010-2011년 대회 규정집을 보면 2010년 1월1일부터 열리는 각종 대회에서 부정 출발을 한 선수는 곧바로 실격 처리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전에는 한 차례 부정 출발은 용인하고 두 번째로 부정 출발한 선수만 실격 처리했었다.

부정 출발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스타트반응 시간이 0.1초 이하로 나왔을 때와 총성이 울리기 전 조금이라도 움직였을 때 부정 출발이 선언된다.

IAAF는 인간의 반응 시간으로 볼 때 총성이 울린 뒤 0.1초 이내 튀어나간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판단, 반응시간이 0.1초 밑으로 나오는 선수는 곧바로 실격 처리한다.

두 번째는 육안으로 확인할 만큼 미동이 있었을 경우다.

IAAF 규정집 162조 6항에 따르면 스타트 블록에 발을, 지면에 손가락을 각각 댄 채 엉덩이를 들고 출발 준비를 마친 선수는 총성이 울리기 전까지 움직여서는 안 된다.

TV가 포착한 김국영의 부정 출발 화면에는 총성이 울리기 전 다리가 떨리듯 약간 움직인 것으로 나타났다.스타트 총성이 발사된 뒤 김국영의 반응시간은 0.146초로 기준을 충족했지만 김국영의 미동이 다른 선수들의 출발에도 영향을 줬다고 판단한 심판진은 김국영에게 실격을 선언했다.

100분의 1초 차로 승부가 갈리는 단거리 경기에서 스타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엄청나다.

눈 깜짝할 사이에 진행되는 단거리 레이스에서 스타트블록을 빨리 치고 나간 뒤 초반부터 레이스를 주도해야 결승선을 먼저 통과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그만큼 스타트 순간에는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하다.

아무리 기량이 뛰어난 선수라도 부정 출발의 덫에 걸리면 곧바로 짐을 쌀 수밖에 없기 때문에 부정 출발은 레이스의 성패를 좌우할 최대 변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