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쇼트트랙 국가대표 최민정이 9일(한국시간)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에서 열린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여자 1000m 결선에서 우승한 뒤 세레머니하고 있다. 하얼빈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9/SSC_20250209125358_O2.jpg.webp)
![한국 쇼트트랙 국가대표 최민정이 9일(한국시간)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에서 열린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여자 1000m 결선에서 우승한 뒤 세레머니하고 있다. 하얼빈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9/SSC_20250209125358_O2.jpg.webp)
한국 쇼트트랙 국가대표 최민정이 9일(한국시간)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에서 열린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여자 1000m 결선에서 우승한 뒤 세레머니하고 있다. 하얼빈 연합뉴스
한국 쇼트트랙 국가대표 최민정(27·성남시청)이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여자 1000m에서 대회 세 번째 금메달을 따내면서 여제의 귀환 소식을 알렸다. ‘차세대 에이스’ 김길리(21·성남시청)도 은메달을 목에 걸며 내년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의 기대감을 높였다.
최민정은 9일(한국시간)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에서 열린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여자 1000m 결선에서 1분 29초 637로 대회 기록을 세우며 정상에 올랐다. 전날 혼성 2000m 계주, 여자 500m에 이어 세 번째 금메달을 획득한 것이다. 이날 오후 예정된 여자 3000m 계주의 우승 가능성도 높아 4관왕이 유력한 상황이다.
이어 김길리가 2위(1분 29초 739), 중국 장추퉁이 3위(1분 29초 836)였다. 2017년 삿포로 대회 여자 1000m 금메달리스트 심석희(28·서울시청)는 4위(1분 29초 994)에 머물렀다. 지난 대회 이 종목 은메달을 따냈던 최민정은 8년 만에 시상대 가장 높은 곳에 올랐다.
![한국 쇼트트랙 국가대표 김길리가 9일(한국시간)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에서 열린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여자 1000m 결선에서 중국 선수와 경합하고 있다. 하얼빈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9/SSC_20250209125405_O2.jpg.webp)
![한국 쇼트트랙 국가대표 김길리가 9일(한국시간)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에서 열린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여자 1000m 결선에서 중국 선수와 경합하고 있다. 하얼빈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9/SSC_20250209125405_O2.jpg.webp)
한국 쇼트트랙 국가대표 김길리가 9일(한국시간)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에서 열린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여자 1000m 결선에서 중국 선수와 경합하고 있다. 하얼빈 연합뉴스
결선은 한국 선수 간 경쟁이었다. 시작과 함께 최민정과 심석희가 앞섰지만 곧바로 김길리가 선두로 치고 나왔다. 이어 장추퉁이 역전을 시도하는 사이 최민정이 1위로 나섰다. 김길리가 다시 힘을 짜내 역전을 시도했으나 최민정을 역전하지 못했다.
김길리는 무난하게 결선까지 오른 최민정과 달리 예선에서 위기를 맞았다. 김길리가 준준결선 4조에서 2위로 달리다가 시마다 리마(일본)에 밀려 넘어진 것이다. 그러나 비디오 판독 끝에 ‘어드밴스’ 판정받아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이어 준결선에선 중국 장추퉁과 공리의 견제를 뚫고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여자 1500m와 혼성 2000m 계주에서 우승한 김길리는 여자 3000m 계주까지 3관왕에 도전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