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게임에 두 번째로 나가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 골잡이 유영아(26·현대제철)에게 2010년 광저우 대회는 쓰라린 기억이다.
이미지 확대
아시안게임 여자축구 대표 유영아 1일 파주NFC(국가대표 트레이닝센터)에서 포즈를 취하는 아시안게임 여자 축구 대표팀 골잡이 유영아(26·현대제철). 유영아는 4년 전 광저우대회 때 동메달에 그친 아픔을 금메달로 꼭 달래겠다며 ”4년 전 기억이 이젠 독기가 됐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아시안게임 여자축구 대표 유영아
1일 파주NFC(국가대표 트레이닝센터)에서 포즈를 취하는 아시안게임 여자 축구 대표팀 골잡이 유영아(26·현대제철). 유영아는 4년 전 광저우대회 때 동메달에 그친 아픔을 금메달로 꼭 달래겠다며 ”4년 전 기억이 이젠 독기가 됐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여자 대표팀은 4강에서 연장전 끝에 북한에 1-3으로 졌다. 3-4위 결정전에서 중국에 이기긴 했지만 북한만 넘었더라면 최소 은메달은 확보할 수 있었기에 아쉬움이 컸다. 여자축구 대표팀은 아직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딴 적 없다. 2010년 광저우 대회 동메달이 첫 메달이자 최고 성적이다.
유영아는 “고비만 넘기면 기세를 이어서 금메달을 딸 수도 있었고 그렇지 않더라도 최소 은메달은 확보됐다”며 “4강전 후 선수들이 정말 많이 울었다”고 씁쓸한 기억을 되새겼다.
2010년 광저우대회에서 한국 여자 대표팀은 유독 극적인 승부를 많이 겪었다. 유영아는 여자 대표팀의 롤러코스터와 같은 운명의 순간에 늘 함께 했다.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한국은 중국과 승점, 골 득실, 다득점에서 동률을 이뤄 승부차기로 순위를 가렸다.
무려 9번째 키커까지 가는 치열한 승부차기 끝에 한국이 중국을 8-7로 따돌리고 조 선두를 차지했다.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