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항서 “최종예선에서 망신이나 안당했으면 좋겠다”

박항서 “최종예선에서 망신이나 안당했으면 좋겠다”

최병규 기자
입력 2021-06-16 20:56
수정 2021-06-21 14: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 취재진과 영상 인터뷰 ‥ 베트남 첫 월드컵 최종예선길 연 ‘쌀딩크 매직’

“기쁨도 잠시입니다. 고민이 다가오네요. 어떻게 하면 최종예선에서 망신 안 당할까요? 하하”. 16일 새벽(한국시간) 베트남을 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최종예선으로 이끈 박항서(64) 감독은 대업을 달성한 소감을 묻자 난처하다는 듯 이렇게 말했다.
이미지 확대
박항서 감독이 이끄는 베트남 축구대표팀의 2022 카타르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이 결정된 16일 베트남축구협회가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동남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월드컵 최종예선에 진출한 베트남 대표팀에 축하를 보냅니다. 더 강해지세요’라는 축하의 글과 사진을 올렸다. 베트남 대표팀은 이날 2-3으로 UAE에 패했지만 조2위 자격으로 역대 첫 최종 예선 진출에 성공했다. [연합뉴스]
박항서 감독이 이끄는 베트남 축구대표팀의 2022 카타르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이 결정된 16일 베트남축구협회가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동남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월드컵 최종예선에 진출한 베트남 대표팀에 축하를 보냅니다. 더 강해지세요’라는 축하의 글과 사진을 올렸다. 베트남 대표팀은 이날 2-3으로 UAE에 패했지만 조2위 자격으로 역대 첫 최종 예선 진출에 성공했다. [연합뉴스]
박 감독이 이끄는 베트남 축구대표팀은 16일 2022카타르월드컵 아시아지역 2차 예선 G조에서 2위를 확정해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2차 예선 경기가 치러진 아랍에미리트(UAE)에서 한국 취재진들과 영상 기자회견을 가진 박 감독은 최종예선에서의 목표와 베트남 축구의 발전상 등에 관해 솔직하게 답했다.

최종예선은 12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경쟁하는 방식이다. 7월 1일 조 추첨 결과 한국과 베트남이 한 조로 엮일 수도 있다. 박 감독은 “한국과는 부담스러우니 안 만나는 게 좋겠다”면서 “붙게 된다면 우리 입장에서는 도전이다. 그 자체로 영광이다”고 말했다.

박 감독은 2002년 한일월드컵에서 코치와 선수로 4강 신화를 합작했던 유상철 전 인천 유나이티드 감독이 세상을 떠난 데 대해서는 “내가 잘못했거나, 도와주지 못했던 부분이 아쉽다”며 눈시울을 붉히면서 한동안 말을 잇지 못하는 등 안타까운 모습을 보였다.

다음은 박 감독과의 일문일답.

▲최종예선 진출을 이뤄낸 소감은.-기쁨도 잠시다. 고민이 다가오고 있다. 최종예선에서 만날 팀들은 우리보다 한 수 위 팀들이다.

▲최종예선 진출 확정했을 때 어떤 느낌이었나.

-UAE전 킥오프 45분 전에 호주가 요르단을 1-0으로 이겼다. 그때 이미 베트남의 최종예선 진출이 확정됐다. 그래서 UAE전은 안심하고 볼 수 있었다. 경기 초반에 대량 실점해 마음이 속상했지만, 후반에 우리 선수들이 추격해서 위안이 됐다. 지난 말레이시아전 끝난 뒤에는 선수들이 신나 있었는데 이번에는 라커룸에서 선수들 표정이 안 좋았다. 경기에서 져서 신나지 않았던 것 같다.

▲최종예선 목표는.

-우리 선수들한테도 이미 얘기했다. 최종예선과 2차 예선의 수준은 굉장히 차이가 크다고 말이다. 내가 겪어 봐서 잘 안다. 고민이 많다. 어떻게 하면 망신 안 당할까? (웃음) 노력해 보겠다. 선수들에게도 아시아 정상들과 겨뤄보는 값진 경험이 될 것이다.
박항서 감독 연합뉴스
박항서 감독
연합뉴스
▲조 편성에 따라 한국을 만나게 될 수도 있다.

-한국하고는 안 만나는 게 좋겠죠. 부담스럽잖아요. (웃음) 감독 레벨도 그렇고 대표팀 FIFA 랭킹에서 상대가 안 된다. 붙게 된다면 우리 입장에서는 도전이다. 그 자체로 영광일 것이다.

▲말레이시아전 뒤 기자회견에서 ‘베트남에서 해야 할 일은 거기까지인 걸로 생각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해 감독직에서 물러나는 게 아니냐는 오해가 있었다.

-다들 의문을 많이 가졌던 것 같은데… (웃음)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이 내 최대 과제이자 목표였다. 이를 달성했다는 의미에서 그렇게 말한 것이다. 내 계약기간은 내년 1월까지다. 이를 준수해야 한다.

▲베트남 축구가 얼마나 발전한 것 같나.

-아직 열악하다. 우리 대표팀에는 아직 영양사도 없다. 대표팀을 운영하는 데 더 많은 전문가가 필요하다. 결국은 재정적 문제다. 하지만 베트남은 국민들이 축구를 매우 사랑하는 나라다. 그리고 경제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어 축구 환경도 나아질 것이다. 한 나라의 축구 발전 속도는 그 나라 경제 발전 속도와 비례한다. 축구는 독학이다. 그러려면 전문가들이 필요하다. 정부와 협회에 각 대표팀과 프로팀에 구단의 상품 가치를 높여 줄 전문가들이 필요하다고 건의하고 있다. 정부와 협회가 계속 관심을 보인다. 베트남의 또 하나 장점은, 전문가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려는 자세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2002 한일 월드컵 때 지도한 유상철 전 감독이 세상을 떠났다.

-그날 오후 훈련을 마치고 나니 김병지 대한축구협회 부회장으로부터 부재중 전화가 와있었다. 느낌이 이상해 전화했더니 유상철 감독이 숨졌다더라. 작년에 한국 갔을 때 유 감독을 만났다. 건강히 호전되고 있다고 얘기해서 기뻤다. 유 감독은 내 고등학교 후배다. 내가 잘못했거나, 도와주지 못했던 부분이 아쉽다. 나 자신을 많이 뒤돌아보게 된다. 왜 이렇게 아웅다웅 살아야 하는 건지…. 인생을 좀 더 베풀면서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그만하겠다.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