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선행지수는 7 개월 연속 하락
공장 가동률이 1980년 이후 30여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 중이다. 경기가 그만큼 좋다는 의미다. 하지만 앞으로의 경기를 예고하는 경기 선행지수는 7개월 연속 하락해 흐린 내일을 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9/01/SSI_20100901023057.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9/01/SSI_20100901023057.jpg)
우리나라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직전인 2008년 9월까지 70%대 후반을 유지했지만 그해 말에는 62%대로 곤두박질쳤다. 이후 반등을 시작해 지난해 3월(70.3%) 70%대를 회복했고 이후 꾸준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의 전년 동월비는 6.7%로 전월보다 0.4% 포인트 하락했다. 7개월째 이어진 선행지수 하락이다. 이런 가운데 체감경기가 2개월 연속 하락했다는 조사결과도 나왔다.
이날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제조업과 비제조업의 경기실사지수(BSI)는 전월에 비해 각각 5포인트와 6포인트씩 하락했다. 제조업체는 103→98로 비제조업체 89→83으로 떨어졌다. BSI가 100 미만이면 심리적으로 경기를 나쁘게 보는 기업이 좋게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것을 뜻하고 100을 넘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한은은 “휴가철이라는 계절적인 요인 외에도 수출 주력지역인 미국·중국 등 주요국 경기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으로 경기에 대한 우려가 커진 것이 체감경기 하락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10-09-0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