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부담금 도입…외화대출 금리 올라가나

은행부담금 도입…외화대출 금리 올라가나

입력 2010-12-19 00:00
수정 2010-12-19 15: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가 19일 내년 하반기부터 장단기 외채에 거시건전성부담금을 부과하기로 발표하자 시중은행들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은행의 수익성에 미칠 영향 등을 점검하고 있다.

 은행들은 정부의 거시부담금(은행세.은행부과금) 도입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부과요율이 당초 시장이 예상했던 0.10%포인트보다는 다소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외화부채 만기에 따라 단기(1년 이내)는 0.20%,중기(1-3년)는 0.10%,장기(3년 초과)는 0.05% 요율로 정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정부는 은행세 도입으로 인한 은행권 부담은 연간 2억4천만달러로 추정했다.

 A은행의 재무담당자는 “정부가 부담금을 은행들의 외화조달에 문제가 생겼을 때 사용하겠다고 한 만큼 은행들이 부담금을 내는 것은 어느 정도 감수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조달비용이 올라가 수익성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B은행 관계자는 “조달원가가 상승할 수밖에 없어 이를 상쇄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지 찾아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C은행 담당자도 “은행들이 조달비용 상승분을 자체적으로 흡수할 것인지 아니면 자산 사용자들에게 부과할 것인지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들은 해외에서 조달한 외채를 기업을 대상으로 한 외화대출로 주로 운용한다.즉 외화대출 금리를 올림으로써 조달원가 상승분의 일부를 기업에 전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에서 외화를 빌리는 기업 입장에서는 금리가 올라갈 경우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고 은행보다는 해외에서 직접 자금을 조달하려 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그는 “처음부터 너무 높은 요율로 시작하기보다 시장의 영향을 고려해 낮은 수준에서 시작해 점진적으로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단기외채 비중이 높은 외은지점들은 “국내에서 영업하지 말라는 것이냐”며 반발했다.

 한 외국계 은행 임원은 “외은지점들은 해외 본점에서 주로 단기자금을 조달을 통해 채권투자와 외화대출을 하는 것이 주요 영업”이라며 “단기외채에 0.20%포인트의 높은 세율을 부과하면 역내외 비형평성이 발생해 홍콩지점 등에서 이런 영업을 대신하고 한국에서의 영업은 빈 껍데기만 남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정부의 거시부담금 도입이 은행권 전체로 보면 단기외채를 줄이는 등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분석이 많았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정중호 연구위원은 “시중은행들의 연간 순이익이 1조~2조원인 점을 감안할때 은행 거시부담금 도입으로 인한 각 은행의 부담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장·단기외채에 대한 부과요율을 차등화함으로써 단기외채를 줄이겠다는 시그널을 명확히 한 만큼 은행들도 단기외채를 어느 수준 이상 조달하는 데는 부담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국내 은행들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외화자산을 많이 줄여 전체적으로 보면 큰 부담은 아니다”라며 “이번 부담금이 금융기관의 위기가 발생할 때 사용된다는 점에서 은행들은 미래를 위해 저축한다고 생각하면 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