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 정보보안 기업 안랩은 올해 7월 말까지 국내외에서 모두 80건의 특허 출원과 등록을 했다고 20일 밝혔다.
국내 특허는 출원 26건, 등록 32건으로 모두 58건인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7% 증가한 수치다.
국제 특허는 출원 19건, 등록 3건을 합쳐 총 22건으로 같은 기간 57% 늘었다.
안랩은 현재까지 누적 기준으로 232건의 국내 특허 출원을 하고 이 중 156건에 대해 특허 취득을 했다고 설명했다.
해외에서는 국제 출원 64건, 국가 별 출원 31건을 출원했다. 안랩에 따르면 이는 국내 보안 소프트웨어 업계 중 최고 기록이다.
안랩의 특허는 안티바이러스 보안 제품인 V3와 실행되지 않은 파일의 악성코드 존재 여부를 검사하는 특허 제품 ‘트러스트와처’에 주로 적용됐다. 안랩은 스마트폰에서 변종 악성코드를 진단하고 스팸 문자나 전화를 차단하는 스마트폰 보안 관련 특허도 획득했다고 밝혔다.
안랩 관계자는 “전체 직원의 50% 정도가 연구개발(R&D) 인력이고 매년 매출액의 20% 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자해 혁신 기술 개발에 힘쓴 것이 특허 증가의 비결”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국내 특허는 출원 26건, 등록 32건으로 모두 58건인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7% 증가한 수치다.
국제 특허는 출원 19건, 등록 3건을 합쳐 총 22건으로 같은 기간 57% 늘었다.
안랩은 현재까지 누적 기준으로 232건의 국내 특허 출원을 하고 이 중 156건에 대해 특허 취득을 했다고 설명했다.
해외에서는 국제 출원 64건, 국가 별 출원 31건을 출원했다. 안랩에 따르면 이는 국내 보안 소프트웨어 업계 중 최고 기록이다.
안랩의 특허는 안티바이러스 보안 제품인 V3와 실행되지 않은 파일의 악성코드 존재 여부를 검사하는 특허 제품 ‘트러스트와처’에 주로 적용됐다. 안랩은 스마트폰에서 변종 악성코드를 진단하고 스팸 문자나 전화를 차단하는 스마트폰 보안 관련 특허도 획득했다고 밝혔다.
안랩 관계자는 “전체 직원의 50% 정도가 연구개발(R&D) 인력이고 매년 매출액의 20% 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자해 혁신 기술 개발에 힘쓴 것이 특허 증가의 비결”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