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금융투자업계는 굵직한 대형 금융사고의 중심에 오르내리는 수모를 겪고 있습니다. 지난달 소액채권 가격을 담합했다는 이유로 대형 증권사들이 대거 벌금형을 선고받았습니다. 수년간 불법채권거래(채권 파킹)에 관여한 혐의로 펀드매니저 103명과 증권사 임직원 34명도 적발됐죠. 2013년에도 동양증권 회사채 불완전 판매로 2만 6210명의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알토란 같은 종잣돈을 투자해 달라고 ‘믿고 맡겼던’ 개미 투자자들은 배신감에 떨었습니다.
그런데 ‘검투사’의 불호령만으로 금융투자업계의 근본적인 문제점이 개선될까요. 그러고 보니 지난해에도 비슷한 행사가 열렸습니다. 금융감독원이 금융투자업체들의 감사, 준법감시인 등을 모아놓고 내부통제 강화 설명회를 개최했더랬죠. 보여주기식 행사만으론 업계 자정이 불가능하다는 얘기죠. 더구나 아무리 황 회장이라도 홀로 업계 자정을 이끌어낼 수는 없습니다. 업계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출범한 금융투자협회의 태생적 한계 때문이죠. 행여 수익에 영향을 미칠까 자정 노력에 소홀했던 업체들도 얼마나 협조적일지 낙관할 수 없습니다.
금융투자시장 일각에선 “일벌백계를 통해 비리에 연루된 임직원은 업계에서 영구퇴출해야 한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결의대회가 구호로만 그치지 않고 행동으로 옮겨지길 바랍니다. 미꾸라지 한 마리가 온 강물을 흐리듯이 일부 금융사 임직원의 도덕적 해이는 결국 국내 금융산업 전반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테니까요.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5-07-0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