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리 메리츠자산운용 사장, 수익률 업계 꼴찌에서 1위로 올려
“지배 구조가 좋은 기업은 주가가 오른다. 그래서 지배 구조가 중요하다는 것을 주요 주주들이 알게 될 거다.”
존 리 메리츠자산운용 사장
그는 기업 지배 구조가 좋아 주가가 오른 기업으로 아모레퍼시픽을 꼽았다. 서경배 회장(55.70%)-아모레퍼시픽그룹(32.18%)-아모레퍼시픽으로 연결되는 지배 구조에다가 지난 5월 개인 투자자의 참여를 늘리기 위해 액면가를 5000원에서 500원으로 낮췄다. 최근 아모레퍼시픽 주가는 40만원대를 넘나들고 있다. 연초 이후 80%가량 올랐다.
존 리 사장이 주식 투자에 큰 관심을 쏟게 된 이유는 우리 국민의 노후 대비 수준 때문이다. 그는 “노후 준비가 전혀 안 돼 있는데도 (국민들이) 별로 걱정하지 않아 충격적이었다”며 “주식 투자를 제대로 하도록 알려야겠다는 사명감이 생겼다”고 밝혔다.
주식을 팔아야 할 때는 노후 생활을 위한 자금화를 제외하고 딱 4가지를 꼽았다. “좋은 주식이라고 믿은 생각이 틀렸을 때, 주가가 아무런 이유나 납득할 만한 이유 없이 오를 때, 성장의 패러다임이 바뀌었을 때, 그리고 좀 더 좋은 주식이 생겨서 그 주식을 사기 위해 돈이 필요할 때.”
존 리 사장은 “금융의 선진화를 이야기하는데 주식 투자가 늘어나는 것부터가 선진화”라면서 “이미 자본가가 된 부자들이 아니라 하루라도 빨리 월급쟁이들이 주식에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래야 근로자의 노동력뿐만 아니라 돈도 일하는 ‘두 개의 엔진’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노후 대비를 위해 예·적금에 자산 대부분을 넣는 것에 대해서는 “집 밖에 나가면 다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집 안에만 머무는 것”이라고 비유했다. 그는 “경제활동을 해 돈을 벌어야 하는 것처럼 주식에 투자해 돈이 일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월급쟁이 한 사람 한 사람이 노후를 걱정하고, 그래서 주식에 투자하면 자본시장이 자연히 발전하게 된다”며 “일본이 ‘잃어버린 20년’을 겪은 이면에는 일본인들의 낮은 금융 이해도도 있다”고 말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5-07-2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