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 자료사진 ⓒ AFPBBNews=News1
최근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의 매파적인 발언이 달러화 강세를 이끌며 유가 및 에너지, 원자재 기업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4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3.14포인트(0.08%) 상승한 17,515.7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0.77포인트(0.04%) 떨어진 2,035.9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65포인트(0.10%) 높은 4,773.51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하락 출발한 지수는 장중 낙폭을 확대하다가 S&P 500 지수만 제외하고 반등에 성공했다.
다음날 ‘성금요일(굿프라이데이)’ 휴장을 앞두고 지수는 큰 폭의 움직임을 나타내지 않았다.
업종별로는 금융업종이 0.6%가량 떨어지며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했다. 에너지업종과 산업업종도 각각 0.5%와 0.3% 내림세를 보였다.
야후는 골드만삭스가 목표주가를 상향한 데 따라 0.17% 오름세를 나타냈다.
웰스파고는 UBS가 실적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과 신용 위험 등으로 ‘매도’ 의견을 제시함에 따라 1.7% 하락했다.
지수는 최근 연준 위원들이 미국 경제에 자신감을 보이며 기준금리 인상이 조만간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이후 내림세를 나타냈다.
퍼스트스탠다드파이낸셜의 피터 카르딜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며칠 동안 지수가 하락세를 보인 실질적인 이유는 연준의 발언 때문이었다”며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와 다른 위원들은 기준금리 인상이 가까이 다가가고 있음을 시사했다”고 말했다.
이날 불라드 총재는 미국 경제의 호조가 예상되기 때문에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멀지 않았다고 말했다. 불라드 총재는 올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책결정 투표 위원이다.
이러한 기준금리 인상 기대는 달러화 강세를 이끈 요인이 됐다. 달러화 강세는 유가를 떨어뜨리면서 연초 세계 금융시장 불안의 악몽을 떠올리게 했다.
뉴욕유가는 미국 달러화 강세와 주간 원유재고 급증으로 하락압력을 받았다. 다만 미 원유 채굴장비 수가 감소로 낙폭은 제한됐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5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배럴당 33센트(0.8%) 낮아진 39.46달러에 마쳤다.
이번주 유가는 4.1%가량 떨어져 지난 2월 중순 이후 처음으로 주간 하락세를 보였다.
한편 코스피는 24일 오전 5.09P(0.26%) 오른 1,991.06에, 코스닥은 2.04P(0.30%) 오른 688.30에 개장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핫뉴스] 김무성의‘옥새 반란’…친박과 전면전 진짜 이유는
▶[핫뉴스] “30년 1번 찍어주니 우습나”…요동치는 대구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