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생산 3.1% 줄어 역대 최대…소비부진·1인가구 증가 등 영향
지난해 서민들의 대표적인 창업 업종인 음식·주점업 생산이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소비 부진, 청탁금지법 시행, 1인 가구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음식·주점업 생산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1% 감소했다. 이는 2000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에 시달렸던 2009년 1∼11월 감소 폭(-2.4%)보다도 크다. 12월이 더 남았지만 이미 1∼11월 감소 폭이 큰 탓에 지난해 음식·주점업 생산은 2015년(-1.8%)과 2016년(-0.8%)에 이어 3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이 유력하다. 음식·주점업 생산이 3년 연속 줄어든 것은 관련 통계가 나온 이후 처음이다.
음식업 사업체는 2015년 기준 47만 3600개로 사업체 수가 가장 많은 대표적인 서민 업종이다. 주점업 및 비알코올 음료업 사업체는 18만 3500개로 음식점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음식·주점업 경기가 뒷걸음질친 배경에는 소비 부진이 자리하고 있다. 지난해 1∼11월 소매판매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7% 증가에 그쳤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 증가 폭(4.5%)의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혼술·혼밥 소비 풍조가 음식·주점업 경기를 위축시키고, 외식업계를 중심으로 2016년 하반기 시행된 청탁금지법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는 주장도 나온다.
통계청 관계자는 “음식·주점업 생산이 줄어든 것에는 경기적 요소뿐만 아니라 1인 가구 증가 등 인구 구조적 요인까지 다양한 요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8-01-0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