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원화, 위안화 영향 커져…과도한 변동성 바람직하지 않아”

기재부 “원화, 위안화 영향 커져…과도한 변동성 바람직하지 않아”

이두걸 기자
이두걸, 김주연 기자
입력 2019-08-26 22:14
업데이트 2019-08-27 02: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용범 1차관 확대거시경제금융회의 “쏠림심화 땐 선제적·단호한 대응할 것”

이미지 확대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 연합뉴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
연합뉴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이 26일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는 것과 관련해 “원화가 위안화 움직임의 영향을 받아 과도한 변동성을 보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차관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확대거시경제금융회의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원화가 위안화의 영향을 받고 있고, 상관도도 조금 높아져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원·달러 환율은 위안화 약세 여파로 이달 들어 달러당 1200원 선에 머물고 있다.

김 차관은 이어 “과도한 쏠림 현상이 나타날 경우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선제적으로 단호히 대응하겠다는 게 정부의 기본 방침”이라면서 “(회의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차원에서 일본 수출 규제 조치에 대한 최근 대책들과 일본 규제가 거시경제와 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공유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달러당 7.9원 급등한 1218.5원에 개장한 직후 1220.8원까지 뛰어올랐다. 장중 환율이 달러당 1220원을 넘긴 것은 지난 6일, 13일에 이어 세 번째다. 이후 달러당 1215.50원까지 내려 앉으며 낙폭을 줄였지만 다시 상승세를 타면서 달러당 1217.8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과정에서 외환당국의 미세조정도 이뤄진 것으로 관측된다. 천대중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지난 주말 미중이 공방을 주고받아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7.1위안대로 오르면서 중국과 연관성이 깊은 원화 환율도 상승했다”면서 “당국에서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외환시장에 개입했을 개연성이 있다”고 짚었다.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9-08-27 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