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0선 무너진 코스피
13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명동점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가 1685.91을 나타내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 ’팬데믹’ 선언과 글로벌 경기침체에 대한 불안감으로 코스피 선물 가격이 급락하면서 이날 한국거래소는 유가증권시장에 대해 매도 사이드카를 발동했다. 전일에 이어 두 번째다. 2020.3.13/뉴스1
세계보건기구(WHO)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 ’팬데믹’ 선언과 글로벌 경기침체에 대한 불안감으로 코스피 선물 가격이 급락하면서 이날 한국거래소는 유가증권시장에 대해 매도 사이드카를 발동했다. 전일에 이어 두 번째다. 2020.3.13/뉴스1
한국거래소는 이날 오전 10시 43분 코스피가 전일 종가 대비 8%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간 지속함에 따라 이후 20분간 유가증권시장의 매매거래를 중단하는 서킷브레이커를 발동했다. 발동 당시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49.40포인트(8.14%) 떨어진 1684.93으로 기록했다. 149.30포인트 하락한 것은 장중 하락폭으로 역대 최대치다.
코스피에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 것은 지난 2001년 9월 이후 18년 6개월 만이다. 코스닥시장에서도 주가지수가 8% 넘게 급락하면서 개장 4분 만에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다. 코스닥시장에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 것은 2016년 2월 이후 4년 1개월 만이다.
국내 증시에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돼 거래가 중단된 것은 코스피와 코스닥을 통틀어 이번이 열두 번째다. 서킷브레이커는 코스피에 1998년 12월, 코스닥에는 2001년 10월 도입됐다.
장중 저가 기준 하락폭으로는 역대 최대치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 당시를 살펴보면, 2000년 4월 17일 미국의 블랙먼데이 여파로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1.63%(93.17포인트) 하락한 707.72로 장을 마쳤다. 장중 한때 12.7%(101.67포인트) 하락해 699.22를 기록하기도 했다. 하락률로는 역대 최고치다.
두 번째 서킷브레이커는 같은해 9월 12일 포드의 대우자동차 인수 포기로 인해 코스피가 폭락하면서 발동했다. 당시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8.06%(50.64포인트) 하락한 577.56으로 마감했다. 장중 최저로는 12.0%(75.42포인트) 하락한 552.78을 기록했다. 9·11 테러 직후인 2001년 9월 12일에도 코스피에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2.0%(64.97포인트) 빠진 475.60으로 장을 마쳤다. 장중 한 때 12.2%(65.99포인트) 하락하기도 했다.
과거 글로벌 경제 위기 못지 않은 금융시장 불안정2007년 8월 16일 미국발 서브프라임 위기가 확산하면서 코스닥시장에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을 당시 코스피는 6.93% 하락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0월 23일과 24일에도 코스닥시장은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다. 당시 코스피는 23일 7.48%, 24일 10.57% 하락했다.
이후 3년만 인 2011년 8월 8일과 9일에는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 하향 충격으로 코스닥시장에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다. 당시에도 코스피는 8일 3.82%, 9일 3.64% 하락하는 데 그쳤다. 이후 약 5년 뒤인 2016년 2월 12일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와 북한 리스크가 재부각되면서 코스닥시장에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 것을 마지막으로 이날까지 증시에서 매매 거래가 중단된 적은 없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