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우리·하나·대구은행 21일 운영
2020년 14곳→올해 5곳 급감 우려
타행과 비교될까 뒤늦게 동참하기도
![DGB대구은행 이동점포에서 신권을 교환하는 모습. 대구은행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1/20/SSC_20230120154038_O2.jpg)
![DGB대구은행 이동점포에서 신권을 교환하는 모습. 대구은행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1/20/SSC_20230120154038.jpg)
DGB대구은행 이동점포에서 신권을 교환하는 모습. 대구은행 제공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우리·하나·DGB대구은행 등은 이날 휴게소 이동점포를 운영한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전날에 이어 이날도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각각 화성휴게소 하행선 방향과 양재 만남의광장 휴게소 하행선 방향에서 신권 교환 등이 가능한 이동점포를 운영한다. 우리은행은 영동고속도로 강릉 방향 여주휴게소에서 신권교환 행사를 연다. 대구은행은 이날 오후 4시까지 동명휴게소 상행선에서 찾아가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
금융위원회가 지난 16일 발표한 ‘설 연휴기간 금융이용 불편 해소 및 자금지원’ 자료에 따르면 당초 휴게소 이동점포를 운영할 계획이었던 은행은 하나·NH농협·부산·광주은행 등 4곳에 불과했고, 운영 예정 이동점포도 5곳에 그쳤다. 코로나19 대유행이 본격화되기 이전인 2020년 설 연휴기간 9개 은행이 14곳에 이동점포를 운영했던 것과 비교하면 참여 은행 수와 점포 수가 모두 크게 줄어든 것이다. 이에 명절 고객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은 부랴부랴 이동점포 운영 계획을 내놨다.
코로나19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 되면서 은행들은 이동점포뿐 아니라 오프라인 영업점들도 줄여나가는 추세다. 이번 이동점포를 금융당국 눈치 보기 차원에서 마련했다는 풀이가 나오는 이유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신권을 바꿔 명절을 준비하려는 고객들이 이전처럼 많지 않다. 오히려 모바일 이체 등을 선호하는 편”이라며 “이번 명절에 이동점포를 운영할 계획이 없었지만 다른 은행과 비교될 것이 우려돼 점포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