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고정금리 하단 3%대로 하락했는데…‘금리 인하’ 기대에 변동형 선호

주담대 고정금리 하단 3%대로 하락했는데…‘금리 인하’ 기대에 변동형 선호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23-12-18 16:08
수정 2023-12-18 16: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미국의 고금리 기조가 당초 예상보다 길어질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내 시중금리도  빠르게 오르고 있다.  그런데도 국내 가계대출은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의 고금리 기조가 당초 예상보다 길어질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내 시중금리도 빠르게 오르고 있다. 그런데도 국내 가계대출은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하단이 3%대 중반으로 떨어졌지만 정작 변동금리를 선택하는 차주들의 비중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을 마무리할 거란 전망에 변동금리를 선호하는 심리가 강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18일 이들 은행의 주담대 고정금리(혼합형)는 연 3.39~5.803%로 하단이 3%대 중반으로 내려왔다. 지난달 23일까지만 해도 연 3.86~6.211%로 3%대 후반이었는데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0.47%포인트 떨어진 셈이다. 지난달 중반(15일)까지만 해도 고정금리 하단은 연 4.13%로 4%대를 넘었었다.

주담대 고정금리가 하락하는 이유는 해당 금리가 준거금리로 하는 금융채 5년물이 하락하고 있어서다. 지난 15일 기준 금융채 5년물(무보증·AAA) 금리는 3.853%로 지난달 1일(4.734%)와 비교하면 0.881%포인트 떨어졌다. 금융채 5년물 금리 하락의 영향으로 추후 이들 은행의 주담대 고정금리 역시 더욱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주담대 변동금리 역시 떨어지고 있는 추세다. 이날 기준 5대 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연 4.52~6.872%로 지난달 15일(연 4.58~7.207%) 대비 상단은 0.335%포인트 떨어졌고, 하단은 0.06%포인트 하락하며 6%대로 떨어졌다. 변동금리의 준거금리가 되는 코픽스가 4개월 연속 상승하며 지난해 12월 이후 11개월만에 4%대에 올라섰지만 은행들이 선제적으로 가산금리를 조정하면서 시장금리 하락 추이를 반영했다.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의 차이가 상하단 모두 1%대로 벌어졌지만 지난달까지 5대 은행의 신규 주담대에서 고정금리 대비 변동금리에 대한 선호 현상은 크게 완화되지 않고 있는 모양새다. 내년부터 금리가 인하할 거란 기대감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A은행의 경우 신규 취급 주담대 중 고정금리 비중이 지난 10월 61%에서 지난달 42%로 20%포인트 가량 큰 폭으로 떨어졌다. B은행 역시 같은 기간 99%에서 98%로 소폭 하락했으며, C은행의 경우 89.52%에서 89.17%로 0.35%포인트 떨어졌다. 나머지 두 은행은 76%에서 79%로 3% 포인트 올랐고, 88.5%에서 88.74%로 0.24%포인트 가량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들 은행의 고정금리 비중은 상단 기준 지난 9월이 76~99.4%로 가장 높았고, 하단 기준 지난 5월(84~98%)이 가장 높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0월 은행권 신규 주담대에서 고정금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7개월 만에 60%대로 떨어졌다. 반면 변동금리를 택한 비중은 32.8%로 한달 새 8% 포인트 늘면서 최근 1년 중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