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버스 충전 1등 펌프킨, 수소 충전 1위 하이넷 손잡아...“스마트 융복합 충전시장 선도”

전기버스 충전 1등 펌프킨, 수소 충전 1위 하이넷 손잡아...“스마트 융복합 충전시장 선도”

입력 2025-01-23 10:38
수정 2025-01-23 1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 전기버스 충전 ‘펌프킨’과 수소 충전 ‘하이넷’, 전략적 협력으로 융복합 충전소 시장 진출
- 미래 친환경 모빌리티 충전을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공동 추진
- 양사의 강점 결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수소·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이미지 확대
펌프킨 최용길 총괄 사장(왼쪽)과 하이넷 현철 대표이사가 펌프킨 본사에서 ‘수소·전기 융복합 충전소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MOU)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펌프킨 제공)
펌프킨 최용길 총괄 사장(왼쪽)과 하이넷 현철 대표이사가 펌프킨 본사에서 ‘수소·전기 융복합 충전소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MOU)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펌프킨 제공)


국내 전기버스 충전 기업 펌프킨과 수소 충전소 운영 기업 수소에너지네트워크(하이넷)가 융복합 충전소 시장 공략을 위해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양사는 1월 20일, 융복합 충전소 인프라 확대와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하며 친환경 모빌리티 충전 시장 점유 확대에 나섰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전기+수소 융복합 충전 인프라 확대를 위한 협력 ▲융복합 충전 인프라 통합 관리 플랫폼 구축 ▲대규모 융복합 충전소 화재 안전 솔루션 도입을 포함한 다양한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는 전기와 수소 충전 기술의 독보적 전문성을 결합한 충전 인프라를 구현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평가받고 있다.

펌프킨과 하이넷은 각각 전기차 충전과 수소 충전 분야에서 업계를 선도하는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협약은 양사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결합하여 충전 인프라 시장의 혁신 가속화와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는 공진화(Co-evolution) 전략의 일환이다.

펌프킨은 1000kW 이상 대규모 충전소 367개소를 운영하며 전기 상용차 충전 시장의 선두를 달리고 있다. 2024년부터는 실시간 화재 감지 플랫폼 및 통합 관제 솔루션을 도입해 대규모 충전소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하이넷은 전국 47개소 55기의 수소 충전소를 운영하며 국내 수소경제 활성화를 주도하고 있다. 도심, 공항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안전 관리 시스템을 통해 최고 수준의 수소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장 신뢰를 얻고 있다.

양사의 협력은 전기차와 수소차를 통합 지원하는 스마트 융복합 충전소로 발전할 전망이며 이는 물류 및 대중교통 부문의 친환경 전환을 가속하여 수소·전기 충전소 운영 데이터의 통합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협력은 단순히 충전소를 운영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수소·전기 차량 데이터의 통합 수집 및 활용으로 충전 효율 최적화, 배터리 상태 예측, 유지 관리 체계화 등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최용길 펌프킨 사장은 “이번 협력은 친환경 충전 인프라의 혁신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전기와 수소 융합 기술로 비용을 절감하고 운영·유지관리 능력을 강화하여 지자체 및 민간 고객들에게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철 하이넷 대표이사는 “펌프킨과의 협력은 융복합 충전소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며, 친환경 모빌리티 충전 생태계의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양사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지속 가능한 충전 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수소경제 및 전기차 시장 성장에 발맞춰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융복합 충전소를 확장함으로써 친환경 모빌리티의 운영 효율성과 안전성을 한층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