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7% “한국, 정점 찍고 내리막”
‘인구절벽’ 한국경제 최대 위협 요인1분기 제조업 경기지수 4년만에 최저
국내 상경계 교수 10명 중 6명 이상이 ‘피크 코리아’(한국의 경쟁력이 정점에 이름)를 찍고 내리막길로 돌아섰다고 평가했다. 올해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1%대를 예상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이뢰해 국내 주요 대학 상경계열 교수 11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7.6%가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2% 미만으로 잡았다고 23일 밝혔다. 31.5%가 1.7~1.9%를 전망했으며, 1.1~1.3% 전망은 13.5%, 1.4~1.6% 전망은 12.6%로 나타났다. 반면, 42.4%는 2%대 성장률을 전망했는데, 32.5%는 2.0~2.2%를, 9.0%는 2.3~2.5%가, 0.9%는 2.6~2.8%를 점쳤다.
한국이 경쟁력의 정점을 찍고 내리막길에 들어섰다는 ‘피크 코리아론’에 대해선 66.7%가 동의했다.
한국경제의 중장기 위협 요인으로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절벽(41.8%) ▲신성장동력 부재(34.5%) ▲낮은 노동생산성(10.8%)이 주요하게 꼽혔다. 응답자들은 특히 인구절벽이 ‘경제활동인구 감소’(37.9%)로 이어지며 우리 경제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연금 고갈 및 복지비용 증가’(19.8%), ‘내수 침체’(15.3%), ‘지방 소멸’(15.3%), ‘국가 재정부담 증가’(11.7%)도 뒤를 이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 경제의 기틀인 제조업의 올해 1분기 경기 전망도 4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기업 2281개 대상으로 ‘2025년 1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 조사한 결과 전분기(85) 대비 24포인트(p), 전년 동기(83) 대비 22p 하락한 61로 집계됐다. 매출액, 영업이익, 자금사정 등의 전망치는 모두 10p 이상 하락하며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3 계엄사태 전(11월 19일~12월 2일)과 후(1월 6~15일) 두 번에 걸쳐 진행됐다. 1차 조사에서는 전망치가 72로 집계됐으나 2차 조사에서는 61로 크게 하락했다. 대한상의는 정국 불안, 강달러, 트럼프 정책 기조 등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가 기업심리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했다.
‘인구절벽’ 한국경제 최대 위협 요인1분기 제조업 경기지수 4년만에 최저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제조업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제조업. 산자부 제공
국내 상경계 교수 10명 중 6명 이상이 ‘피크 코리아’(한국의 경쟁력이 정점에 이름)를 찍고 내리막길로 돌아섰다고 평가했다. 올해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1%대를 예상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이뢰해 국내 주요 대학 상경계열 교수 11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7.6%가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2% 미만으로 잡았다고 23일 밝혔다. 31.5%가 1.7~1.9%를 전망했으며, 1.1~1.3% 전망은 13.5%, 1.4~1.6% 전망은 12.6%로 나타났다. 반면, 42.4%는 2%대 성장률을 전망했는데, 32.5%는 2.0~2.2%를, 9.0%는 2.3~2.5%가, 0.9%는 2.6~2.8%를 점쳤다.
한국이 경쟁력의 정점을 찍고 내리막길에 들어섰다는 ‘피크 코리아론’에 대해선 66.7%가 동의했다.
한국경제의 중장기 위협 요인으로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절벽(41.8%) ▲신성장동력 부재(34.5%) ▲낮은 노동생산성(10.8%)이 주요하게 꼽혔다. 응답자들은 특히 인구절벽이 ‘경제활동인구 감소’(37.9%)로 이어지며 우리 경제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연금 고갈 및 복지비용 증가’(19.8%), ‘내수 침체’(15.3%), ‘지방 소멸’(15.3%), ‘국가 재정부담 증가’(11.7%)도 뒤를 이었다.
정부, 올해 경제상장률 1.8% 전망
2일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2025.01.02. 뉴시스
이러한 가운데 한국 경제의 기틀인 제조업의 올해 1분기 경기 전망도 4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기업 2281개 대상으로 ‘2025년 1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 조사한 결과 전분기(85) 대비 24포인트(p), 전년 동기(83) 대비 22p 하락한 61로 집계됐다. 매출액, 영업이익, 자금사정 등의 전망치는 모두 10p 이상 하락하며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3 계엄사태 전(11월 19일~12월 2일)과 후(1월 6~15일) 두 번에 걸쳐 진행됐다. 1차 조사에서는 전망치가 72로 집계됐으나 2차 조사에서는 61로 크게 하락했다. 대한상의는 정국 불안, 강달러, 트럼프 정책 기조 등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가 기업심리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