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개 생활필수품 가격, 1년 만에 평균 1.1%↑
“급격한 환율 상승으로 가격 인상 우려 커져”
![31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맛김이 진열돼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31/SSC_20250131164751_O2.jpg.webp)
![31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맛김이 진열돼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31/SSC_20250131164751_O2.jpg.webp)
31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맛김이 진열돼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4분기 맛김과 고추장·간장·참기름 등 생활필수품 가격이 줄줄이 오르면서 장바구니 물가에 빨간불이 켜졌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지난해 4분기 서울과 경기도 내 420개 유통업체에서 판매된 39개 생활필수품 가격이 1년 전보다 평균 1.1% 상승했다고 31일 밝혔다. 가격이 오른 품목은 19개로 평균 4.1% 올랐다. 가격 상승 상위 5개 품목은 맛김(23.6%), 고추장(9.9%), 간장(7.9%), 참기름(7.2%), 케첩(6.4%) 순이다.
맛김 가격은 지난해 상반기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원재료인 김 원초 가격이 급등하면서 지난해 6월부터 상승 흐름을 이어왔다. 동원F&B의 ‘양반 좋은 원초에 그윽하고 향긋한 들기름김&올리브김’ 가격은 28.7%, 풀무원의 ‘들기름을 섞어 바삭바삭 고소하게 구워낸 파래김’은 19.2% 각각 올랐다.
![지난해 4분기 가격 상승률 상위 5개 품목.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31/SSC_20250131164806_O2.png.webp)
![지난해 4분기 가격 상승률 상위 5개 품목.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31/SSC_20250131164806_O2.png.webp)
지난해 4분기 가격 상승률 상위 5개 품목.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제공
협의회는 “수산업관측센터 자료를 보면 작년 12월 김 생산량이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고, 올해 생산량도 예년보다 늘 것으로 예측돼 맛김 가격 상승세가 둔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어 “CJ제일제당과 오뚜기가 지난해 참기름 가격을 10% 이상 올렸는데 최근 참깨 원재료 가격이 하락하고 있어 가격 인하 여부를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가격 상승률이 높았던 생필품 대부분이 이상 기후로 인한 원재료 가격 불안이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2022년 밀·대두 가격 급등에 이어 원당·원두·카카오·김 등의 가격 급등이 연이어 이어지며 식품 가격이 올랐다는 것이다. 협의회는 “정부 차원의 중장기적 대책 마련을 촉구했지만 아직 명확한 방안이 없고 연초부터 급격한 환율 상승 등으로 생필품 가격 인상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