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1467.2원)보다 8.2원 내린 1459.0원에 출발했다. 2025.02.04. 뉴시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4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1467.2원)보다 8.2원 내린 1459.0원에 출발했다. 2025.02.04. 뉴시스
국내 정치의 불확실성이 장기화하면 원달러 환율이 1500원대까지 오르고 올해 경제성장률은 1.3%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 SGI(지속성장이니셔티브)는 4일 ‘환율 급등 시나리오별 경제적 임팩트 및 대응’ 보고서에서 향후 정치·경제 상황에 따른 두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우선 정치와 경제가 분리돼 정책 대응이 원활하고 정치적 불확실성이 조기 수습될 경우 대외 환경 관리가 가능해지면서 하반기에 경제가 반등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원달러 환율은 1400원대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경제성장률은 1.7%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보고서는 “다만 정치적 불확실성이 조기 수습되더라도 금리 역전 지속과 트럼프 관세 인상 예고로 연중 달러화 강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정치권 갈등이 장기화하는 경우엔 원달러 환율이 5.7% 상승 압력을 받으면서 1500원대로 치솟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경우 투자·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되고, 재정 공백 발생, 통화·통상 정책의 효과적 대응 지연 등으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주요 전망기관 예측치(한국은행 1.6~1.7%)보다 낮은 1.3%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달 16일 기준금리 동결 당시 올해 경제성장률을 1.6~1.7%로 전망했다. 그러나 미국 신행정부의 추가 관세 부과 의지를 최근 재확인하면서 글로벌 무역 갈등이 격화할 경우 한은이 오는 25일 발표하는 수정 경제전망에서는 성장률 전망치가 1.5%나 그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신융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