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데이터안심구역’·‘전력데이터서비스마켓’ 등 운영… 에너지신산업 지원 강화

한전, ‘데이터안심구역’·‘전력데이터서비스마켓’ 등 운영… 에너지신산업 지원 강화

김태곤 기자
입력 2023-03-27 10:25
업데이트 2023-03-27 1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전력데이터서비스(EDS)마켓’ 이용절차. 한국전력 제공
‘전력데이터서비스(EDS)마켓’ 이용절차. 한국전력 제공
한국전력공사는 전력공급과 더불어 판매데이터를 공유하고 개방 활성화 등을 통해 에너지데이터 생태계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전력공급 및 판매 등 261종 시스템을 운영하며, 이를 기반으로 1300TB의 빅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전력은 민간에서 단계별 데이터 개방방식을 통해 데이터 탐색부터 서비스 사업화까지 지원하고 있다. 단계별로 보면 ▲데이터탐색(공공데이터포털·전력데이터 개방포털) ▲데이터분석(데이터안심구역) ▲데이터 결합(가명정보결합) ▲서비스 사업화(전력데이터서비스마켓) 등으로 이뤄진다.

먼저 데이터탐색은 중앙행정기관과 공공기관 등이 보유한 파일데이터 195종, API 30종 등 총 225종의 데이터를 개방하고 있다. ‘전력데이터 개방포털’을 통해서는 148종의 전력데이터를 상시 공개하고 있다.

두 번째로 데이터분석은 누구든지 데이터를 안전하게 분석·활용할 수 있는 공간인 ‘데이터안심구역’을 운영하고 있다.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활용가치가 높은 데이터를 분석해 신규 서비스를 발굴하고 사업성을 검토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데이터 결합에는 ‘가명정보 결합제도’가 있다. 이는 개인정보처리자가 보유한 개인정보를 결합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가명 처리해 통계작성, 과학적 연구, 공익적 기록보존 등의 목적에 활용된다.

끝으로 서비스 사업화를 통해 ‘전력데이터서비스(EDS)마켓’을 운영 중이다. 전력데이터서비스마켓은 디지털계량기(AMI)로부터 취득하는 전력사용데이터와 발전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를 유통하기 위한 플랫폼이다. 현재 15종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163개사, 180여개의 서비스가 등록돼 있으며 4만여명의 고객이 활용하고 있다.
서울비즈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