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건설사, 재건축·재개발 수주 ‘잰걸음’

대형 건설사, 재건축·재개발 수주 ‘잰걸음’

입력 2014-09-05 00:00
업데이트 2014-09-05 03: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9·1대책 발표 후 시장 열기 후끈… 개포·압구정·목동 등 공략 대상

정부가 재건축 연한을 40년에서 30년으로 단축하는 9·1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자 건설업계들이 재개발과 재건축을 수주하기 위해 치열한 물밑 작업을 벌이고 있다.

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건축한 지 30년이 도래하는 서울·수도권 지역 재건축 시장 내 경쟁이 한껏 달아오르는 분위기다. 서울 강남 개포·압구정, 양천 목동, 노원 상계·중계, 경기 평택 등이 집중 공략 대상이다. 건설사들은 재건축 사업 조합원들이 업체 이미지, 가격경쟁력, 브랜드 파워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한다는 점을 고려해 컨소시엄 구성을 위한 눈치작전도 벌이고 있다.

삼성물산은 개포시영·주공2단지, 일원 현대아파트 등 기존 재개발 수주 지역에 대한 공사를 본격 가동하고 중·장기적으로 GS건설과 함께 수주한 대치동 은마아파트의 사업 활성화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이다. 현대건설은 왕십리뉴타운을 연내 분양하고 시장입지가 좋은 개포·고덕·반포 지역에 대한 사업 추진에 매진하고 있다.

대림산업은 원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재개발, 재건축 사업 수주에 적극 나서는 상황이다. 대림산업 측은 “지난 3년간 원가 혁신으로 저원가 고품질 상품을 구현했다”며 자신감을 표출했다. 대림산업은 올해 경기 성남 금광1구역 재개발 수주 등 전국적으로 재건축, 재개발 시장에서 2조원 수주를 눈앞에 두고 있다.

대우건설은 재건축 시장이 움츠러들었을 때도 사업 조직을 축소하지 않고 때를 노려 왔다. 지난 5월 서초 삼호가든4차 아파트 재건축 사업 수주에 성공한 대우 측은 “충분히 재개발 시장 수주를 준비해 왔다”며 수익성이 낮은 중·고층 지역을 제외한 추가 수주에 공을 들이고 있다.

롯데건설 역시 재개발·재건축 사업 수주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서울 동·서 지역, 수도권, 지방 등 팀별로 운영되던 재건축 사업 수주 태스크포스팀에 인력을 충원하고 만전을 기하는 분위기다. 롯데 측은 사업성이 좋고 랜드마크 역할을 할 수 있는 목동·강남·상계 주공 등을 탐내고 있다.

GS건설은 시장 회복세에 맞춰 올해 분양성이 좋은 사업지 위주로 수주전에 뛰어들었다. 상반기 2700억원 규모의 방배5구역 재건축 사업 등을 수주한 데 이어 하반기에 방배3구역, 광명철산주공8·9단지 재건축 등의 사업권을 따내겠다는 각오다.

이날 현대산업개발은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첫 시공사 선정 총회에서 GS건설을 누르고 강남구 삼성동 상아3차 아파트 재건축 시공사로 선정됐다. 5일에는 방배3구역 재건축 조합이 총회를 열어 GS건설과 대우건설 중 한 곳을 시공사로 결정한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4-09-05 1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