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전세가율 3년째 70%대 고공행진

비수도권 전세가율 3년째 70%대 고공행진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6-04-10 17:42
수정 2016-04-10 23: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월 말 현재 73.16%로 나타나… 중소형 위주 매수 갈아타기 늘어

지난해 9월 이후 수도권의 전세가율이 비수도권 전세가율을 압도하는 현상이 벌어지면서 주목도가 떨어졌지만, 비수도권 지역의 전세가율 역시 3년째 70%대로 높게 유지되고 있다.

부동산114는 3월 말 현재 비수도권 지역 아파트 전세가율을 73.16%로 집계했다. 지난해 6월 이후 9개월 연속 상승세로 2013년 5월 70.08%를 기록한 이후 70% 아래로 떨어지지 않았다.

전세가율이 높을수록 매매가와 전세가의 가격 차는 줄어든다.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3월 현재 비수도권 지역의 전용면적 85㎡ 소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1억 8022만원, 평균 전세가는 1억 3338만원으로 4684만원의 격차가 있었다. 수도권의 전용면적 85㎡ 평균 매매가가 3억 2411만원, 전세가가 2억 4825만원으로 7586만원의 격차가 생기는 데 비해 폭이 작다. 이에 비수도권 지역에서 중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타기를 선택하는 수요가 늘고 있다.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비수도권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35만 815건으로 3년 전인 지난 2012년(28만 2051건)보다 24.38%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용면적 85㎡ 초과 비수도권 중대형 아파트 거래량 증가율(8.45%)을 3배가량 웃도는 수치다.

전세가율이 높은 곳을 중심으로 중소형 아파트들의 청약 성적도 양호한 편이다. 지난 2월 동원개발이 부산에서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금정구(77.7%)에서 선보인 중소형 아파트 ‘온천장역 동원로얄듀크’는 196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총 6670명이 몰려 34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10일 “전세는 실수요자 중심 시장이기 때문에 전세가율이 높다는 것은 실수요층이 두텁다는 얘기와 통한다”면서 “건설사들이 올봄 충남 천안, 광주 광산구, 대구 수성구, 경남 진주, 전북 전주 등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에서 새 아파트 분양에 적극 나설 예정”이라고 전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6-04-1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