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7~8일 이틀간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에 대한 중소기업 의견조사’ 결과에서 이같이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조사 결과 응답 기업 절반 이상(51.3%)이 사회적 거리두기가 코로나19 확산 예방에 기여했다고 평가했지만, 향후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에 대해서는 67.7%가 완화 또는 폐지(점진적으로 완화 39.0%, 전면 폐지 28.7%) 방향으로 개편돼야 한다고 답했다.
코로나 발생 상황과 연계해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은 24.3%였으며, 현행유지(5.7%)와 점진적 강화(2.3%)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향후 사회적 거리두기 폐지 시 코로나19 발생 이전으로 경영상황으로 회복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6개월~1년 이내’(30.6%)가 가장 많았다. 이어 ‘1~2년 이내’(26.4%)로 6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한 답변이 57.0%에 이르렀다. 반면 ‘3개월~6개월 이내’는 16.6%로 답했다.
코로나19 발생 후 지난 2년간 가장 도움이 된 정부·지자체 지원시책에 대해서는 ‘영업손실 보상’(13.3%), ‘고용유지 지원’(13.0%), ‘방역·진단용품 지원’(6.7%) 등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응답기업의 절반 이상(57.3%)은 이같은 지원제도를 이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고, 그 사유로는 절대 다수(93.6%)이 ‘지원대상 아님’을 꼽았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소상공인 피해보상이 적정했는지에 대해서는 부족했다는 의견이 49.0%(매우 부족 21.7%+다소 부족 27.3%)로, 적정했다는 응답(12.0%)을 크게 상회했다. 소상공인 활력 회복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가장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정책으로는 ‘자금지원 확대’(47.3%)가 가장 많았고, ‘대출 만기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20.7%), ‘고용유지 지원 확대’(20.3%) 등 순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은 사회적 거리두기의 순기능에 공감은 하지만 손실에 대한 충분한 지원과 보상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며 “추가지원 대책이 조속히 마련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