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 못 피한 K배터리 투톱… 설비투자 줄여 ‘캐즘’ 넘는다

적자 못 피한 K배터리 투톱… 설비투자 줄여 ‘캐즘’ 넘는다

손지연 기자
손지연 기자
입력 2025-01-26 17:48
수정 2025-01-27 06: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LG엔솔 3년 만에… 2255억 적자
삼성SDI 7년 만에… 2567억 적자
올해 美 전기차 보조금 감축 우려
LG엔솔 “설비투자 3조 줄여 관리”
삼성SDI “신규 라인 축소 등 조절”

이미지 확대


국내 배터리 업계의 양대 산맥인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가 지난해 4분기에 동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이 길어지면서 전기차 배터리 수요가 급감한 영향이 컸다. 기업들은 올해 설비투자를 줄여 악재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4분기(연결 기준) 영업손실 2255억원으로 적자 전환됐다고 지난 24일 공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이 분기 적자를 기록한 건 ‘볼트 EV’ 리콜 문제가 있었던 2021년 3분기 이후 약 3년 만이다. 매출액(6조 4512억원)은 2023년 4분기 대비 19.4% 줄었다.

지난해 연간 기준으로 보면 영업이익은 5754억원으로 전년 대비 73.4%, 매출은 25조 6196억원으로 전년 대비 24.1% 감소했다. 이에 순이익(3386억원)도 79.3% 줄었다.

삼성SDI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4분기 영업손실은 2567억원으로 역시 적자 전환됐다. 삼성SDI가 분기 적자를 기록한 건 2017년 1분기 이후 약 7년 만이다. 연간 기준으로는 영업이익이 3633억원으로 전년 대비 76.5% 줄었다. 순이익(5755억원)도 72.1% 급감했다.

두 회사 모두 4분기에 미국의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혜택을 받았음에도 적자를 피하지 못했다. AMPC는 전기차 배터리 생산자에게 지급되는 보조금으로, 지난해 국내 배터리 업체가 받은 AMPC는 1조원에 이른다.

전기차 전방 산업이 부진하면서 배터리 업계도 실적 악화를 피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수요가 줄자 주요 고객사들이 재고를 조정했고 이에 배터리 출하도 줄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문제는 올해 실적 개선이 녹록지 않다는 점이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근거한 전기차 보조금 축소가 현실화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유럽연합(EU)이 올해 시행되는 자동차 탄소 배출량 규제를 완화할 수 있다는 점도 악재다.

이에 국내 배터리 업계는 설비투자 속도 조절에 나선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설비투자(CAPEX)를 전년 대비 3조원가량 줄여 관리할 예정”이라며 “신규 증설 대신 이미 구축된 사이트를 활용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삼성SDI도 “거점별 사업에 따라 신규 라인 증설 비용을 줄이거나 시기를 조절하는 식으로 투자 효율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했다.
2025-01-2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