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2조 448억… 1년 새 14.6%↑
건설업 9.6% 늘어 급등세 이끌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달 23일 경기 안양고용노동지청을 방문해 직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임금체불 청산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6/SSC_20250206182804_O2.jpg.webp)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달 23일 경기 안양고용노동지청을 방문해 직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임금체불 청산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6/SSC_20250206182804_O2.jpg.webp)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달 23일 경기 안양고용노동지청을 방문해 직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임금체불 청산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제공
건설업 침체 등 경기 악화 영향으로 지난해 임금 체불액이 사상 처음 2조원을 넘겼다.
6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임금 체불액은 2조 448억원으로 전년도 1조 7845억원보다 2603억원(14.6%) 늘었다. 피해 근로자는 28만 3212명으로 1년 전(27만 5432명)보다 7780명(2.8%) 증가했다. 임금 체불액은 2020년 1조 5830억원, 2021년 1조 3505억원, 2022년 1조 3472억원으로 줄다가 2023년 1조 7845억원으로 역대 최고액을 찍었지만 지난해 더 늘어난 것이다.
임금 체불액이 급증한 것은 건설경기 부진 등 경기 악화 탓으로 분석된다. 제조업(5609억원), 건설업(4780억원) 순으로 체불 비중이 컸다. 특히 건설업 체불액은 1년 전보다 9.6% 늘어 급등세를 이끌었다. 대유위니아와 큐텐의 집단 체불 사태도 영향을 줬다. 대유위니아는 1197억원, 큐텐은 320억원을 체불했다.
다만 임금 체불 청산액도 역대 최대였다. 지난해 1조 6697억원을 청산해 전년도 청산액(1조 4112억원)보다 2585억원 늘었다. 청산율도 81.7%로 전년(79.1%)보다 2.6% 포인트 올랐다.
정부는 임금 체불 피해를 줄이기 위해 체불 사업주에 대한 제재를 강화할 계획이다. 상습 체불 사업주에 대한 신용 제재와 정부 지원 제한 등 제재를 강화하는 내용의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오는 10월 23일 시행된다. 김문수 고용부 장관도 이날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서 전국 기관장 회의를 열고 임금 체불 관리를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