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속독인간과 한계생산성/강성민 글항아리 대표

[문화마당] 속독인간과 한계생산성/강성민 글항아리 대표

입력 2014-08-28 00:00
수정 2014-08-2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강성민 글항아리 대표
강성민 글항아리 대표
최근 한 선생님을 뵈었는데 30년 전에 몇 달간 다닌 속독학원 덕분에 요즘도 남들보다 서너 배는 책을 빨리 읽는다고 말씀하셨다. 공인된 과학기술로서의 속독의 내막이야 내가 알 리가 없지만 그 이야기를 듣는 순간 기분이 묘해졌다. 나야말로 속독인간이 아니던가. 남의 글을 읽고 고치는 직업을 어언 20년 가까이 이어가다 보니 빨리 읽는 것에 도가 터버려서 탕탕질에 낙지 다리 떨어져 나가듯 문자들이 날아다니는 요즘의 인생살이가 문득 눈앞에 펼쳐지는 느낌이었다.

속독은 독이다. 읽어서 힐링이 되는 게 아니라 속에 독이 쌓인다. 속독은 화수분이다. 계속 무언가를 채워 넣으려 하지만 내용의 깊이는 빠져나가고 느낌과 평가의 감정만 남아 형식을 이룬다. 속독의 형식은 때로 생활세계를 이끌어가는 도그마를 형성해 타인의 삶도 그에 맞춰 타박하게 한다. 생체의 리듬으로도 자리 잡아 직업으로서의 속독을 벗어난 자리에서도 속독의 리듬에 얹을 수 있는 킬링 타임의 소재들을 찾아 나서게 만든다. 속독의 세월이 깊어져 속독의 노예가 되는 순간 미드(미국 드라마)나 추리소설밖에 볼 수 없는 자신과 마주하게 된다.

최근 한국영화 ‘명량’이 1630만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아바타’를 제치고 역대 관객 동원 1위의 신기록을 세웠다. ‘명량’의 질주는 아직 그 한계를 모르고 계속되고 있어 과연 1700만일까, 1800만일까를 두고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치열한 영화시장에서 ‘명량’은 1명이 관람할 때마다 신기록을 쓰는 놀라운 위치에 올라서 버렸다. 명량의 관객이 하루 10만명이 들면 하루에 10만번의 신기록을 경신하는 것이다.

그런데 나는 이 어마어마한 양의 관객 뒤에 속도가 숨어 있다는 생각이 든다. 언젠가부터 한국 블록버스터들은 1000만을 결승점에 두고 흥행몰이 속도를 재는 초시계가 되어 버렸다는 느낌이다. 이 또한 어마어마한 속독이다. 관객이라는 페이지를 최대한 빨리 넘기기 위해 온갖 수단이 동원된다. 그 속독의 메커니즘이 적절한 소재를 만나고 분위기를 타면 스스로의 한계생산성을 경신하는 것이다.

시인 이윤학은 시집 ‘나를 위해 울어주는 버드나무’에 실린 글에서 “파먹을 건 나 자신밖에 없다”고 쓴 적이 있다. 시인의 양해를 구하고 말하자면 나는 요즘 이것이 한계생산성에 대한 가장 뛰어난 문학적 비유라고 생각한다. 경제학 용어인 한계생산성은 정해진 조건에서 생산할 수 있는 한계치의 양을 계산한 개념이다. 그걸 넘어서 뭔가를 생산한다면 당장에는 생산량이 늘어서 좋겠지만 긴 시간을 놓고 볼 때 기계의 노후화나 인력의 이탈 등으로 생산량이 감소해 결국 한계생산성 안으로 불려 들어올 수밖에 없다.

바깥으로 보이는 ‘나’ 혹은 물질적인 것들로 유지되는 ‘나’가 풍부해질수록 그 안쪽의 ‘나’는 온통 파먹혀서 형체도 남아 있지 않을지도 모른다. 영화든 책이든 잘 될수록 스스로를 파먹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할 것이다. 하지만 한계생산을 넘어서려는 ‘기록의 노예’들은 스스로 질주의 트랙에서 벗어나기가 무척 힘들다. 이것이 1000만 영화의 반대편에 10만 영화 100편이 존재해야 하는 이유다. 그리고 베스트셀러 반대편에 비운의 걸작들이 웅숭거리고 있는 이유인지도 모른다. 사회는 어차피 그렇게 유지되는 것이다. 인간 또한 속도의 공간에서 언젠가는 튕겨져 나와 비운의 걸작들에 위로를 받는 날이 올 것이다. 나는 그것을 예감하고 있다. 나 자신부터 그랬으면 좋겠다는 마음과 함께.
2014-08-2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