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착 장비따라 활용도 무궁무진… 경진대회 등 ‘드론인재’ 양성 필요

박관민 드론협회장
격변하는 드론 생태계 속에서 우리나라는 드론 산업의 불모지에 가깝다. 현재 상업용 드론 생산업체 중 중국 기업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취미용 드론 시장의 주도권은 중국 업체가 쥐고 있다. DJI를 필두로 한 중국 드론 업체들은 시장성이 불확실한 시기부터 제조를 시작해 현재는 시장점유율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미 시장의 장벽이 형성된 것이다.
특수 드론과 군사용 드론은 미국이 독보적이다. 드론 산업 발전은 단순히 드론 기체의 발전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수많은 산업 생태계가 동반 성장하는 자동차 산업처럼 드론 산업의 파급 효과는 아주 크다. 세계적 드론 생태계를 누가 선도하느냐에 기업과 국가 산업의 미래가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한 선결 과제가 적지 않다. 저변 확대다. 우선 드론레이싱대회, 드론 사진전 및 영상전, 취미용 드론 비행을 위한 공간 확보 등으로 일반인의 관심을 확대해야 한다. 군사용 드론 위주에서 민간, 상업용 드론 시장이 큰 성장세를 보이는 시기에 기본적인 저변 확대가 이뤄져야 다양한 응용, 파생 분야가 발전할 수 있다. 드론 동아리 지원 및 경진대회 개최 등 드론 개발 인재 육성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더불어 드론의 불법 유통을 막아야 한다. 현재 국내 상업용 드론 시장에는 인증을 거치지 않은 불법 드론들이 무분별하게 유입되고 있다. 드론의 안전성에 대한 심각한 방해 요소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선제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앞으로 드론 활용에 필수적인 운영체제 및 각종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해 세계적으로 이미 경쟁력을 갖춘 우리나라의 정보기술(IT) 인프라를 활용한다면 해당 분야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을 것이다.
2016-01-1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