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어떤 산업과도 융합 가능…드론 불법유통 막고 저변 넓혀야”/박관민 드론협회장

[특별기고] “어떤 산업과도 융합 가능…드론 불법유통 막고 저변 넓혀야”/박관민 드론협회장

입력 2016-01-11 22:38
수정 2016-01-12 00: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장착 장비따라 활용도 무궁무진… 경진대회 등 ‘드론인재’ 양성 필요

박관민 드론협회장
박관민 드론협회장
무인기, 드론이 끝없이 진화하고 있다. 드론은 어떤 장비를 장착하느냐에 따라 어떠한 산업 분야와도 융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군사 목적으로 처음 개발된 드론은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일반인들에게는 낯선 분야였다. 대부분 감시·정찰용 대형 드론 위주로 발전했지만 최근 각종 산업 분야와 융합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영화 제작, 건설현장, 스포츠 등에서 드론의 활용은 보편화했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전자제품 박람회 CES에서도 드론을 위한 독립 전시공간을 마련할 정도로 드론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은 뜨겁다.

격변하는 드론 생태계 속에서 우리나라는 드론 산업의 불모지에 가깝다. 현재 상업용 드론 생산업체 중 중국 기업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취미용 드론 시장의 주도권은 중국 업체가 쥐고 있다. DJI를 필두로 한 중국 드론 업체들은 시장성이 불확실한 시기부터 제조를 시작해 현재는 시장점유율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미 시장의 장벽이 형성된 것이다.

특수 드론과 군사용 드론은 미국이 독보적이다. 드론 산업 발전은 단순히 드론 기체의 발전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수많은 산업 생태계가 동반 성장하는 자동차 산업처럼 드론 산업의 파급 효과는 아주 크다. 세계적 드론 생태계를 누가 선도하느냐에 기업과 국가 산업의 미래가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한 선결 과제가 적지 않다. 저변 확대다. 우선 드론레이싱대회, 드론 사진전 및 영상전, 취미용 드론 비행을 위한 공간 확보 등으로 일반인의 관심을 확대해야 한다. 군사용 드론 위주에서 민간, 상업용 드론 시장이 큰 성장세를 보이는 시기에 기본적인 저변 확대가 이뤄져야 다양한 응용, 파생 분야가 발전할 수 있다. 드론 동아리 지원 및 경진대회 개최 등 드론 개발 인재 육성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더불어 드론의 불법 유통을 막아야 한다. 현재 국내 상업용 드론 시장에는 인증을 거치지 않은 불법 드론들이 무분별하게 유입되고 있다. 드론의 안전성에 대한 심각한 방해 요소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선제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앞으로 드론 활용에 필수적인 운영체제 및 각종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해 세계적으로 이미 경쟁력을 갖춘 우리나라의 정보기술(IT) 인프라를 활용한다면 해당 분야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을 것이다.
2016-01-1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