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국립한글박물관에서는 ‘나는 몸이로소이다’라는 기획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제목만 보면 홍사용의 ‘나는 왕이로소이다’가 연상된다. 이 시가 발표된 1923년과 가까운 시기의 우리 몸과 말에 관한 이야기다.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110여년 전 우리나라 최초로 한글로 된 해부학 교과서가 번역된다. 제중원의 ‘해부학’(1906년). 한국 첫 근대식 병원인 ‘제중원’ 의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한 책이었다. 일본 해부학자 이마다 쓰카누의 ‘실용해부학’을 당시 의학생이던 김필순이 번역했다. 오늘날 일상어가 된 ‘복근’, ‘승모근’, ‘이두박근’에서부터 ‘세포, 연골, 인대, 신경, 망막’ 같은 말들이 이 책에 나온다. 전통 의학에서는 신경 쓰지 않았고, 살피지 않았던 것들이었다.
이렇게 받아들여지기 시작한 서양의학은 몸에 대한 우리말과 생각을 바꿔 놓았다. 이전까지 ‘하나’라고 봤던 몸과 마음은 ‘별개’이기도 한 것이 됐다. 말이 달라지면서 의식도 일상도 변해 갔다. 특별전은 이런 얘기들을 풀어 간다. 10월 14일까지.
2018-08-09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