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들이 팀을 이뤄 공연을 한다. 게임이나 패션 쪽에서는 각자의 이미지를 합쳐 새로운 것을 내놓는다. 이처럼 일시적으로 같이 공연이나 작업을 하는 예를 흔히 볼 수 있다. ‘협업’이고 ‘합작’이다. 한데 이런 말 대신 ‘컬래버레이션’(collaboration)이라고 한다. 줄여서 주로 ‘콜라보’라고 말한다.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팀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경우 어문팀장
기존의 말들이 아쉬웠나 보다. ‘새로운 가치 창출’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지 않았다. ‘콜라보’를 더 가까이 했다. ‘콜라보’가 꽤 익어 갈 무렵 같지만, 달라 보이는 말이 나타났다. ‘규범’ 혹은 ‘규정’이란 이름을 달고 ‘컬래버’가 등장했다. 현지음에 가까운 말이 표준형이 된 것이다. ‘콜라보’에 익숙한 사람들은 떨떠름한 표정을 짓는다. 형태도 꽤 다르고 의미도 덜 살아난다는 생각을 갖는다.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쓰는 현대 서울말을 원칙으로 한다. 넓은 의미에서 외래어도 표준어에 속하지만, 현지음에 가까운 것을 선택한다. 그러나 관용을 존중하는 것도 원칙에 들어 있다. ‘콜라보’를 선택하는 이들은 이것을 붙잡는다.
wlee@seoul.co.kr
2018-12-2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