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학년도 서울대 수시합격자 중 일반고 출신 비율이 지난해보다 7.7% 포인트나 줄었다. 일반고의 학력 저하를 가져올 것이라는 고교 다양화의 폐해가 입증된 것이다. 교육부는 일반고교의 교육과정 다각화 등 일반고 지원책을 강화하고, 대학은 학교 유형과 관계없이 동등한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는 전형안을 보강하는 노력을 기울이기 바란다.
서울대 수시전형 합격자 발표 자료에 따르면 일반고의 약세가 두드러진다. 올해 수시전형 합격생 2684명 중 일반고는 46.3%인 1243명이다. 지난해는 54.0%였다. 반면 비일반고에서는 외고 3% 포인트, 자사고 2.3% 포인트 증가 등 예체능계와 자율형 공립고를 제외하고는 모두 늘었다. 일반고 약세는 합격자 배출 고교 수에서도 나타났다. 791개교로 지난해 880개교에 비해 89개교가 줄었다.
이런 현상은 전체 신입생의 80% 정도를 선발하는 서울대 수시전형에 일반고가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서울대 수시는 지역균형선발 전형을 제외하곤 수능 최저 요건도 보지 않는다. 학생부와 자기소개서를 통한 정성평가로 서류전형 합격자를 고른 뒤 구술면접으로 최종 합격자를 정한다. 다른 대학들이 수능 최저 요건에다 논술전형 등으로 선발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학교효과’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방과 후 프로그램이나 자치활동으로 수험생이 내실 있는 자기소개서를 준비할 여건은 일반고보다는 비일반고가 훨씬 낫다.
교육부는 학교 중심의 다양화가 아닌 교육과정 자체를 다양화하고 이를 일반고교에 확대하기 바란다. 대학은 전체 고교생의 72%를 차지하는 일반고 학생들이 비일반고와 같은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는 선발의 기회 균등에 더 많은 신경을 기울이기 바란다. 자연계 수능 만점을 받은 수험생이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논술 비중이 70%인 올해 고려대 수시모집에서 탈락했다. 대입 정상화의 필요성을 보여 주는 사례다. 교육부가 수능과 학생부 외에 논술, 적성고사 등 대학별 고사로 선발하는 인원을 늘리는 대학에는 불이익을 주고, 고교 교육 정상화에 기여하는 대학은 우대하는 대학 지원 사업을 내년부터 실시한다고 한다. 대학이 학생 선발권에 매몰돼 고교 교육 정상화를 외면하지 말기 바란다.
서울대 수시전형 합격자 발표 자료에 따르면 일반고의 약세가 두드러진다. 올해 수시전형 합격생 2684명 중 일반고는 46.3%인 1243명이다. 지난해는 54.0%였다. 반면 비일반고에서는 외고 3% 포인트, 자사고 2.3% 포인트 증가 등 예체능계와 자율형 공립고를 제외하고는 모두 늘었다. 일반고 약세는 합격자 배출 고교 수에서도 나타났다. 791개교로 지난해 880개교에 비해 89개교가 줄었다.
이런 현상은 전체 신입생의 80% 정도를 선발하는 서울대 수시전형에 일반고가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서울대 수시는 지역균형선발 전형을 제외하곤 수능 최저 요건도 보지 않는다. 학생부와 자기소개서를 통한 정성평가로 서류전형 합격자를 고른 뒤 구술면접으로 최종 합격자를 정한다. 다른 대학들이 수능 최저 요건에다 논술전형 등으로 선발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학교효과’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방과 후 프로그램이나 자치활동으로 수험생이 내실 있는 자기소개서를 준비할 여건은 일반고보다는 비일반고가 훨씬 낫다.
교육부는 학교 중심의 다양화가 아닌 교육과정 자체를 다양화하고 이를 일반고교에 확대하기 바란다. 대학은 전체 고교생의 72%를 차지하는 일반고 학생들이 비일반고와 같은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는 선발의 기회 균등에 더 많은 신경을 기울이기 바란다. 자연계 수능 만점을 받은 수험생이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논술 비중이 70%인 올해 고려대 수시모집에서 탈락했다. 대입 정상화의 필요성을 보여 주는 사례다. 교육부가 수능과 학생부 외에 논술, 적성고사 등 대학별 고사로 선발하는 인원을 늘리는 대학에는 불이익을 주고, 고교 교육 정상화에 기여하는 대학은 우대하는 대학 지원 사업을 내년부터 실시한다고 한다. 대학이 학생 선발권에 매몰돼 고교 교육 정상화를 외면하지 말기 바란다.
2013-12-0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