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의 사회면] 편지 속의 그 사람이 아니네…

[그때의 사회면] 편지 속의 그 사람이 아니네…

손성진 기자
입력 2019-10-06 17:24
업데이트 2019-10-07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펜팔이 일으키는 문제점과 부작용을 보도한 신문 기사(경향신문 1972년 7월 21일자).
펜팔이 일으키는 문제점과 부작용을 보도한 신문 기사(경향신문 1972년 7월 21일자).
1963년 6월 서울대 영문과 3학년 H(여)씨가 1년 동안 펜팔을 해 왔던 캐나다 청년과 결혼하려고 출국했다는 소식이 사진과 함께 신문에 실렸다. 국제 펜팔이 러브레터로 발전한 경우였다(동아일보 1963년 6월 18일자). 1960~80년대에 펜팔은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과 친교를 맺는 수단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외국인과의 펜팔도 활발했다. 1960년대 초에 국제 펜팔을 주선해 주는 펜팔 클럽이 여러 개 있었는데 총 회원 수가 4만~5만명에 이르렀다. 미국, 독일, 일본, 스웨덴 등 세계 40여 개국의 편지 친구들과 서신을 교환했다.

고교별로 펜팔 클럽이 결성돼 회원 수가 서울 Y고는 500여명을 헤아렸다. ‘한국펜팔클럽’은 외국으로 나가 편지를 직접 전달하는 ‘국제친선우체부’를 파견했는데 외국어대 스페인어과 3년 K씨는 남미 국가에 7만통의 편지를 전달했다(동아일보 1963년 3월 1일자).

웃지 못할 일도 있었다. 어떤 여성이 펜팔을 하던 남성을 만나려고 약속 장소로 정한 다방으로 나갔는데 서로 알아보려고 들고나오라고 한 하이네 시집을 품에 안고 나온 그 남성이 언니의 시동생, 즉 사돈 총각이었다는 것이다. 베트남에 파견된 장병들은 대부분 국내 친구들과 펜팔을 했다. 그중에 가장 많은 사람과 펜팔을 한 ‘펜팔 챔피언’은 백마부대 K(당시 37세) 하사로 188명을 펜팔 친구로 두고 있었으며, 하루에 30여통의 편지를 쓰고 15통을 받았다.

중국의 탁구 스타 자오즈민과 안재형의 국경을 뛰어넘은 사랑의 가교 역할을 한 것은 펜팔이었고 귀순용사 김신조씨도 펜팔로 부인을 만났다. 그러나 건전한 교제 수단에서 벗어나 펜팔이 일으키는 부작용도 많았다. ‘무료 펜팔’을 빙자한 소개소가 판을 쳤고 주간지 뒷면은 ‘친구 구함’, ‘애인 구함’ 등의 문구를 넣은 펜팔 광고로 도배됐다. 펜팔을 미끼로 성폭행을 하거나 펜팔 친구의 돈을 송금받아 가로채기도 하는 등 펜팔은 범죄의 통로로 악용되기도 했다.

1972년 1월 28일 서울의 한 다방에서 해병 중사가 사제 폭탄을 터뜨려 2명이 숨졌다. 3년 전 베트남에 있을 때부터 P씨와 펜팔 교제를 해오던 중사는 P씨가 변심하고 가족들이 결혼을 반대하자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이처럼 생면부지의 사람들이 자신을 좋게 포장하며 서신을 교환하다 실제로 만나 보고는 실망해 일으키는 사건과 사고가 잦았다. 도시 처녀와 펜팔을 하던 농촌 총각이 처녀가 결혼을 거부하자 처녀를 살해한 사건도 있었다. 전화와 온라인이 손편지를 밀어냈듯이 펜팔은 점점 사라졌고, 그 자리를 폰팔, 폰팅, 컴팔, 컴팅, 채팅이 메웠다.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2019-10-07 3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