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광장] 찾아오는 주민이 지방자치의 꽃이다/박준희 관악구청장

[자치광장] 찾아오는 주민이 지방자치의 꽃이다/박준희 관악구청장

입력 2019-10-10 17:32
업데이트 2019-10-11 02: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준희 관악구청장
박준희 관악구청장
고대 그리스 아테네에서는 시민들이 광장에 모여서 마을 문제를 함께 토론하고 결정했다. 민회는 그리스·로마 시대 도시 국가의 정기적인 시민 총회다. 시민들이 자신의 생각, 의견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직접민주주의의 시작이었다.

현대 민주주의는 대의민주주의를 근간으로 하고 있지만 지방정부는 직접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는 요소가 많다. 직접민주주의의 핵심은 적극적인 주민 참여다. 지난해 민선 7기 취임 후 가장 먼저 하고 싶었던 사업이 아테네의 직접민주주의를 우리 시대에 맞게 변형해 시스템화하는 것이었다.

삐삐를 차고 다니던 구의원 시절, 두 평 남짓한 사무실에서 ‘민원 불편 해소 상담소’를 차려 구민들의 민원과 정책 제안을 직접 받았다. 그 시절의 경험을 살려 지난해 11월 관악구청 1층에 민선 7기 1호 공약사업인 카페형 관악청(聽)을 탄생시켰다. 이곳에서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 주민들을 직접 만나 정책 제안도 받고, 민원도 해결하며 열띤 토론을 펼치고 있다.

지난 3~7월에는 ‘이동 관악청’도 선보이며 21개 동 주민센터를 순회하며 많은 주민들을 만나 지역 현안과 의견에 귀기울였다. 이렇게 해서 처리하고 해결한 민원이 270여건에 이른다. 취임 1주년에는 ‘온라인 관악청’도 만들어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넘어서 모든 주민과 소통의 폭을 넓혀 가고 있다.

성현동, 중앙동, 신림동 등 6개동에서는 주민자치회도 운영 중이다. 기존의 주민자치위원회가 동 자문 기구 역할에 그쳤다면 주민자치회는 공공서비스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가진 주민들이 모여 마을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직접 해결해 나가는 것이다. 2020년 하반기에는 21개 전체 동으로 확대하고 주민자치회 안착을 지원할 계획이다.

주민의 참여 없이 지방자치의 발전은 없다.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더 나은 관악구를 만들어 나가는 원동력이 된다. 진심으로 주민들의 이야기를 듣고 답답함을 나눠 조금이라도 어려움이 해소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관악청에서 항상 주민들을 기다리고 있다. 꼭 무거운 주제가 아니어도 좋다. 선선한 바람이 부는 가을날 가벼운 마음으로 커피 한잔 하러 관악청을 찾아오는 주민들의 발걸음이 꽃처럼 아름답다.
2019-10-11 2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