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과학 따라잡기] 방사선 내성생물의 우주 여행/임상용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요즘 과학 따라잡기] 방사선 내성생물의 우주 여행/임상용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입력 2021-12-20 19:50
수정 2021-12-21 01: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주 최강 생물체들의 흔적

2019년 4월 11일, 이스라엘의 달 탐사선 ‘베레시트’가 장비 오작동으로 달에 불시착했다. 베레시트에는 위키피디아를 포함해 인류의 역사와 행보를 보여 주는 자료들이 저장된 타임캡슐과 함께 물곰 수천 마리가 실려 있었다.

물곰은 ‘완보동물’ 중 하나로 몸길이는 1㎜에 불과하지만 영하 273도의 극저온, 영상 151도의 고온에서는 물론 산소가 없는 진공 상태나 일반 생물체에는 치명적인 방사선량보다 1000배 높은 방사선에 노출돼도 견딜 수 있는 강력한 생존능력을 자랑한다. 우주 방사선에 견디는 독특한 특성으로 물곰의 우주여행은 이미 2007년에 유럽우주국(ESA)에 의해 시작됐고 올해도 5000마리의 물곰이 실험을 위해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보내졌다.

그런데 우주 여행을 하는 또 다른 방사선 내성 생물체는 미생물인 ‘데이노코쿠스’이다. 데이노코쿠스는 사람에게는 치사량에 해당되는 방사선량보다 수천 배 높은 방사선도 견디는,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방사선 내성을 보이는 생물체로 알려져 있다. 데이노코쿠스는 우주환경에서의 생존능 측정을 위해 1993년에 10일간 우주를 다녀온 이후 수십 차례에 rjf쳐 우주여행을 한 베테랑 우주비행사라고 할 수 있다.

불시착했던 물곰은 아직도 달에 있을까? 영국 과학자들은 베레시트가 달에 추락했을 때의 충격으로 물곰이 모두 죽었을 거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지만, 달에 가 보기 전에는 그 누구도 모를 일이다.

2021-12-2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