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인왕산/손성진 논설실장

[길섶에서] 인왕산/손성진 논설실장

손성진 기자
입력 2015-07-27 17:58
수정 2015-07-27 18: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왕산 하면 떠오르는 것은 호랑이와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일 것이다. 인왕산에 호랑이가 살았다는 기록을 남긴 사서(史書)는 한둘이 아니다. 조선 태종실록에는 호랑이가 경복궁 근정전 뜰에 들어왔다고 기록돼 있다. 인왕은 높이가 338m밖에 안 되지만 산세가 제법 웅장하고 계곡이 깊어 호랑이가 서식할 만한 산이다. 조선 태조 이성계가 한양을 도읍으로 정할 때 풍수지리상 낙산을 좌청룡으로, 인왕산을 우백호로 삼았으니 인왕은 호랑이와 여러모로 연관이 깊다.

궂은 날씨를 무릅쓰고 인왕산에 오른다. 한여름의 장대비가 세차게 쏟아진다. 거추장스러운 비옷을 벗어 버린다. 빗줄기가 땀에 젖은 온몸을 시원하게 씻어 준다. 초야에 묻혀 사는 자연인이 된 것 같은 순간이다. 조선 후기 화가 겸재 정선이 그린 ‘인왕제색도’는 ‘비갤 제(霽)’ 자를 썼으니, 비갠 후의 인왕산 풍경을 그린 그림이다. 비가 오락가락하더니 구름이 걷히기 시작한다. 가려졌던 도심 빌딩숲이 모습을 드러낸다. 뒤를 돌아본다. 구름이 산허리에 걸린 ‘인왕제색도’가 실물 그대로 눈앞에 펼쳐져 있는 게 아닌가. 어디선가 호랑이도 뛰쳐나올 것 같았다.

손성진 논설실장 sonsj@seoul.co.kr
2015-07-2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