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다람쥐 밥/김성호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길섶에서] 다람쥐 밥/김성호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김성호 기자
입력 2015-10-06 23:28
수정 2015-10-06 23: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집 가까이 있는 올림픽공원에 자주 가는 편이다. 토끼며 다람쥐 등 공원엔 아는 식구들이 꽤 늘었다. 같은 자리에서 맴도는 동물들은 사람들과 아주 친하다. 먹을 것을 주고 쓰다듬는 사람들을 맴도는 녀석들은 꼬리를 흔들고 귀를 쫑긋대며 재롱떨기 일쑤다. 낯익은 토끼며 다람쥐들에 이름을 붙여 부르는 방문객 모습도 종종 눈에 띈다.

오랜만에 찾은 올림픽공원. 커다란 플래카드가 을씨년스럽다. ‘다람쥐에게 도토리를 돌려줍시다.’ 도토리를 죄다 주워가 다람쥐들이 먹을 게 없단다. 묵을 쑤려고 싹쓸이하는 이들도 있다니, 해도 너무한 것 같다.

공원에 도토리가 얼마나 열린다고 가져다 묵까지 쑬 생각을 할까. 그 속 좁은 욕심이 얄궂다. 그래서인가. 그 신나게 뛰놀던 다람쥐며 토끼들이 별로 눈에 안 든다.

가만 돌이켜보니 올림픽공원 초창기부터 단골손님이었던 것 같다. 공원이 처음 생겼을 땐 토끼며 다람쥐들이 사람을 무서워해 도망 다니기 일쑤였는데, 이젠 가족처럼 친하게 지낸다. 녀석들이 먹이를 가로채는 사람들을 무서워해 도망 다닌다? 아무리 생각해도 슬픈 일이다.

김성호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2015-10-0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