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봄볕/손성진 논설실장

[길섶에서] 봄볕/손성진 논설실장

손성진 기자
입력 2016-03-27 18:10
수정 2016-03-27 18: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언제 그렇게 추웠냐는 듯 봄볕이 따사롭다. 햇살 좋은 날, 야외에 나가면 쑥이며 냉이가 지천으로 자라고 있다. 그런데도 캐는 사람이 없다. 먹을 게 귀하던 시절 이맘때면 산이며 들에는 바구니를 들고 쑥, 냉이를 캐던 아낙네들을 쉽게 볼 수 있었는데 말이다.

이른 봄 채소가 나기 전에 얼어붙었던 땅을 뚫고 올라오는 쑥과 냉이는 귀한 식재료였다. 끓는 물에 어린 쑥이나 냉이를 넣고 된장만 풀면 향긋한 쑥국, 냉잇국이 된다. 쑥으로 설기나 떡, 부침개도 만들어 먹었다. 궁합 맞는 제철 음식으로 알려진 도다리 쑥국도 있다. 그런데 사실은 도다리의 제철은 가을이라고 하니 잘못된 상식이라고 할까.

봄볕 하면 떠오르는 말이 며느리다. ‘봄볕은 며느리를 쬐이고 가을볕은 딸을 쬐인다’는 속담 때문이다. “딸 손자는 가을볕에 놀리고 아들 손자는 봄볕에 놀린다”는 말도 있다. 이 말은 근거가 있다고 한다. 봄볕은 자외선이 강해서 피부에 좋지 않다는 것이다. 봄볕이 따스하다고 너무 쬐면 쉬 검어진다. 며느리, 딸에 대한 차별적인 인식이 거의 없어진 요즘에야 다 흘러간 말이 되었지만 봄볕은 왠지 며느리들에겐 좀 서글픈 말이다.

손성진 논설실장 sonsj@seoul.co.kr
2016-03-2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